가야고분군 연구성과

가야고분군에 대한 국내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표 1과 같이 대가야와 금관가야에 대해 연구가 집중되고 있고 다음으로 아라가야-비화가야-다라국-소가야 순이다.
가야고분군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이전에는 고분 구조 및 출토 토기의 편년연구, 2000년대 이전에는 고분에서 출토된 각종 유물에 대한 형식 분류와 편년 연구가 중심을 이루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각 권역별 물질문화로 본 정치체의 성격, 대외교류, 매장 의례, 나아가 봉분 축조 기술 등 고분군을 통해 가야의 문화를 복원하려는 시도에 중점이 맞춰지게 되었다.

표1. 가야고분군 관련 국내 연구 현황

분야 금관
가야
아라
가야
대가야 비화
가야
소가야 성산
가야
고녕
가야
다라국 기문국 기타
석사논문 17 4 13 3 8 - - 4 2 101 152
박사논문 1 1 2 - 1 - - 1 - 20 26
학술지
논문
101 48 208 41 24 4 3 30 17 787 1,263
단행본 6 4 8 1 1 - - 1 - 139 160
도록 4 3 6 2 2 - - 4 3 46 70
129 60 237 47 36 4 3 40 22 1,093 1,671



표2. 가야고분군 구조 및 유물 관련 연구 현황

분야 금관
가야
아라
가야
대가야 비화
가야
소가야 성산
가야
고녕
가야
다라국 기문국 기타
고분구조 35 13 49 9 14 1 2 13 13 136 295
봉분축조 - 2 3 4 1 - - 1 - 4 15
토기 15 9 15 7 4 - - 3 2 103 158
무구 3 - 6 - - - - 5 - 74 88
장신구 1 - 11 3 - - - 1 1 40 57
기타 75 36 153 24 17 3 1 17 6 736 1,068
129 60 237 47 36 4 3 40 22 1,093 1,671



표3. 가야고분군 관련 연구 경향 변화

분야 1980년 이전 1980~1990 1990~2000 2000~2010 2010이후
고분구조 5 32 50 98 110 285
토기 2 19 34 45 58 158
무구,마구 - 3 16 34 35 88
장신구,위세품 2 4 12 17 22 57
매장의례 - 2 3 10 8 23
봉분축조 - - 1 3 11 15
9 60 116 207 244 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