考古資料로 본 가야 멸망 前後의 社會動向
Society trend before and after Gaya's fall based on archaeological data
저자
洪潽植
발행연도
2001 
발행처
한국상고사학회 
언어
학술지명
한국상고사학보 
권호사항
Vol.35No.-[2001]  
수록면
89.0~116.0 
KDC
911.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80년대 이후 축적된 고고자료를 이용하여 가야의 멸망 시기 및 멸망을 전후한 가야권역의 정치·사회적 동향을 구명하기 위한 것이며, 고고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금관가야의 신라투항으로 시작된 가야의 멸망은 2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금관가야·탁기탄·탁순 등 1단계의 가야멸망은 자진투항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대가야·아라가야·소가야 등은 여전히 존재하였다. 이들 지역에서 출토된 신라계 물질자료들은 낙동강 연안변의 집단들간에 이루어진 이웃간 교역의 결과물이며, 신라 중앙의 개입에 의한 가야에 대한 각개격파식 전략의 산물이 아니었음이 분명하였다. 2단계는 562년 대가야 멸망으로 상징되는 가야의 멸망이며, 554년 관산성 전투 이후 백제와 가야에 대한 신라의 우위가 확보된 이후부터 562년의 약 10년 사이 신라의 무력에 의해 이루어졌다. 멸망과 거의 동시에 가야문물은 자취를 감추고 신라문물로 대체되었다. 가야의 물질자료와 장법 등이 신라의 물질자료와 장법으로 바뀐 것은 곧 그들의 전통적 생활방식은 물론 매장의례 등 빗물질적인 내용까지도 신라적인 것으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높았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초록(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deep into the political·social trend of Gaya region before and after Gaya's fall, taking advantage of archaeological data have been accumulated since in the 1980's. Especially, we could reach a conclusion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holding strongly to critical views on a part of academic world's attempt on regarding Gaya's downfall as earlier era. The fall of Gaya is subdivided into 2 phase, after Geumgwan-Gaya surrender to Silla dynasty. The first step was the fall of Geumgwan-Gaya·Takgitan·Taksun etc. They surrendered of their own accord, when it was from the fall of Geumgwan-Gaya in 532 to the early 540's. However, there still coexisted with Dae-Gaya·Ara-Gaya and So-Gaya, etc. The Silla-related materials excavated in these regions was by-product through trades among neighboring groups along the Nak-dong riverside, To put it definitely, it is clear that it wasn't acquired product by which Silla government exercise her influence over several of Gaya. The second step was the fall of Gaya symbolized as Dae-Gaya's fall in 562, it was accomplished by Silla's force, for about 10 years, from Gwansan Fortress Battle in 554 when Silla government attained superiority over Baekje and Gaya.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fall, Gaya cultural products disappeared and then they substituted for silla's cultural ones. Considering the thing that Gaya materials and funeral ceremony tec is substituted for silla's, we can infer it is much possibility that even immaterial details like a burial ceremony as well their traditional lifestyle might be changed into sorts of Silla'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가야권역 출토 신라토기 편년
Ⅲ. 가야 멸망 이전의 신라·가야문물의 動向
Ⅳ. 가야의 멸망과 사회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 고고자료
  • 가야
  • 신라
  • 신라토기
  • 가야토기
  • 사회변화
  • archaeological data
  • Gaya
  • Silla
  • Gaya pottery
  • Silla pottery
  • social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