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全北) 동부지역(東部地域) 봉수(烽燧)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A Study on Signal Fires in the East Jeollabuk-do Region
저자
조명일
발행연도
2018 
발행처
호남고고학회 
언어
Korean 
학술지명
湖南考古學報 
권호사항
Vol.59No.-[2018]  
수록면
90.0~107.0 
KDC
초록

이 글은 전북 동부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봉수들을 대상으로 그 현황과 분포양상을 파악하고, 그동안의 지표조사 와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봉수의 구조와 운영시기 및 주체 등을 검토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북 동부지역에는 80여개소의 봉수가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북 남원시, 진안군, 무주군, 완주군, 임실군, 충남 금산군에서 시작된 여러 갈래의 봉수로는 최근 전북지역 가야세력의 중심지로 부각되고 있는 장수군으로 이어진다. 이 봉수들은 대체로 장수군으로 통하는 주요 길목과 교통로를 감시하기 좋은 산봉우리에 위치하며, 일부는 고대산성과 세트를 이룬다. 주지하다시피, 봉수는 주변의 급박한 상황을 중앙으로 신속히 전달해 주는 군사 통신시설이기 때문에 자연스레 봉수를 운영했던 정치세력의 중심지로 연결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북 동부지역의 봉수들은 장수군 일원에 존재했던 정치세력에 의해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2013년 장수 영취산·봉화산, 원수봉 봉수에 대한 (시)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던 봉수 의 구조와 축조시기, 운영주체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 주었다. 조사가 이루어진 모든 봉수는 기본적으로 부정형의 할석을 사용하여 외 측벽을 쌓아 올리고, 그 안쪽을 흙이나 석재로 채운 구조를 보이며, 규모는 길이가 10m 내외로 밝혀졌다. 최근 완주군 일대에 거의 온전한 형태로 발견되고 있는 봉수들 역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구조적 특징은 유사하다. 발굴조사를 통해 삼국시대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유물의 속성 및 조합상이 장수군 일대의 가야계 고총과의 유사하다. 따라서 봉수의 운영주체는 장수군에 존재했던 가야세력이며, 축조 시기는 가야계 고총의 편년 안을 참고할 때 5세기 후반 경으로 추정된다. 『日本書紀』 繼體記에는 가야계 소국인 반파가 기문과 대사를 두고 백제와 전쟁을 했고, 이 과정에서 봉수를 운영 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반파는 그동안 고령의 대가야로 보는 것이 통설이었다. 그러나 기록에 등장하는 기문 이 장수와 지리적으로 인접된 남원 운봉고원이라는 점, 최근 장수군에서 240여기의 가야계 고총과 120여개소의 제철유적이 확인되면서 강력한 가야계 정치체가 존재했음이 드러났다는 점 등으로 비추어 볼 때, 장수군의 가야세력 이 반파일 것으로 추정되며,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 직후의 혼란한 시기를 틈타, 세력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봉수를 축조·운영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록(영문)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signal fires distributed in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province and to examine the structure, as well as operation period and entity based on the result of surface surveys and excavations. It is known that 80 signal fires are distributed in the eastern part of Jeollabuk-do. The series of signal fires originating from Namwon City, Jinan County, Muju-gun, Wanju-gun, and Imsil-gun in Jeollabuk-do and Geumsan-gun in Chungcheongnam-do are running all the way down to Jangsu-gun, which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as the center of the ancient Gaya power in Jeollabuk-do area. These signal fires are usually located on mountain peaks, which provide excellent vantage points for watching major roads and traffic routes leading to Jangsu-gun, and some of them are paired with in ancient mountain fortresses. As we all know, signal fire is a military communication facility that quickly delivers the imminent situation to the headquarters. Therefore it is natural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political power that operated the signal fire. In this respect, the signal fires in Jeollabuk-do province are likely to have been operated by the political power spread across the Jangsu gun. The excavation in 2013 of the signal fires located in Yeongchi-san, Bonghwa-san, and Wonsubong in Jangsu-gun provided clues to the structure of the signal fire as well as construction period and operation entity. All of the signal fires that were investigated were constructed basically by building up the outer walls using indefinitely formed halved stones and filling the inside with earth or stones, and each measured about 10m in length. The signal fires that were found recently almost in their complete original form in the vicinity of Wanju gun have similar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e remains of the Three States period that were unearthed through excavation surveys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Jangsu Gun in terms of their property and combination of artifacts. Therefore, the main entity that operated the signal fire is the Gaya power that existed in Jangsu gun,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estimated to be around the late 5th century in reference to the chronology of the ancient Gaya graves. It was recorded in "Nihon Shoki” that Banpa, a small nation of Gaya, waged a war with Baekje with a Gimun and Daesa, and operated signal fires in the process. Banpa has so far been conventionally understood as the Big Gaya in Goryeong. Given that the Gimun appearing in the records is located in Unbong Plateau in Namwon, which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Jangsu-gun, and that there are 240 tombs of the ancient Gaya and 120 steel mill ruins in Jangsu-gun, Gaya power in Jangsu-gun is believed to be Banpa. Therefore, it seems that Gaya power had built and operated signal fire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ir presence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otic period immediately after Baekje’s capital relocation to Woong-jin.

키워드
  • 봉수
  • 산성
  • 가야
  • 반파
  • 기문
  • Signal Fire
  • Fortress
  • Gaya
  • Banpa
  • Gim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