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논문 : 역사 속의 고령과 고령 사람들 ; 대가야(大伽倻) 멸망과 고령지역(高嶺地域)의 변화
The Fall of Dagaya and the Change in Goryeong Region
저자
이영호
발행연도
2008 
발행처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언어
Korean 
학술지명
퇴계학과 유교문화(Toegye Studies and Korean Culture) 
권호사항
Vol.42No.-[2008]  
수록면
53.0~92.0 
KDC
151.05 
초록

대가야의 멸망에 대한 기록은 560년설과 562년설이 있고, 560년설에서도 정월 설과 9월설이 있다. 이를 검토한 결과, 대가야는 560년에 신라에 멸망한 적이 있거나 멸망한 것과 마찬가지의 상태에서, 신라에 반란을 꾀하다 562년 완전히 멸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대가야 멸망 후 수도였던 고령은 ‘대가야군’으로 격하되었다. 이에 따라 대가야인들의 향방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 고령에 거주하였던 상당수 지배층들은 자신의 거주지를 떠났다. 신라 정부에서 이들을 토착세력과 분리시키고자 거주지를 먼 곳으로 옮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고령지역 피지배층은 그 자리에 남았을 것이다. 통일신라기 고령지역은 오늘날의 고령군과 합천군 야로면, 가야면 일대를 포함하였다. 경덕왕 대에 ‘대가야군’은 ‘고령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고령이란 이름은 이때부터 사용되었는데, 이는 대가야의 원래 국명이었던 ‘가라’에서 유래한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802년에는 화엄종 사찰인 해인사가 창건되었다. 해인사는 신라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후삼국시대에는 견훤과 왕건를 지지하는 세력으로 나뉘면서 고령지역 불교계의 분열을 가져왔다. 고려시대 고령군의 영역은 신라시대보다 축소되었다. 1018년 지방제도 개혁 시에 고령군의 일부를 이루었던 야로현이 합천군의 관할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이로써 해인사는 고령군에서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고령지역에서는 13세기초 해인사 계통의 반룡사에서 화엄결사가 결성되었다. 이는 무신정권시대 교종 침체기 화엄종 승려들의 결사로서 주목된다.

초록(영문)

Viewing from the remaining historical records, there are several views as to the actual time of the fall of Dagaya:either in 560 or in 562, and even either in September 562 or in January 562. As a result of close examination of these records, it is clear that Dagaya either fell to Silla in 560 or virtually fell in 560 and attempted a revolt and then was finally destroyed by the neighboring kingdom in 562. After the fall of Dagaya, its capital, Goryeong, was degraded to the “County of Dagaya,” and the life of the people of Dagaya revealed itself in a variety of types. A majority of the ruling class that lived in the capital of Goryeong left their homes. The Silla government forced them to move to remote regions in order to separate them from their native forces. But the ruled commoner people might probably remained in their original places. In the period of Unified Silla, the region of Goryeong included present-day Goryeong county, Yaro and Gaya townships of Hapcheon county. In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the Daegaya county was renamed that of Goryeong. From then on, the name of “Goryeong” came to be used. It is presumed that “Goryeong” originated from “Gara” the original name of the Daegaya kingdom. In 802, the Haein-sa temple, which belonged to the Hwaeom sect of Buddhism, was established. The Buddhist temple maintained close ties with the royal household of Silla, but in the period of the Later Three Kingdoms i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supported either Gyonhwon or Wangun. In the Goryeo period, the territory of the Goryeong county became smaller than in the Silla period.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at the time of the reform of the local administration in 1018 the Yaro county (hyeon) was incorporated into the Hapcheon district (gun). In the course of the administrative alteration, the Haein-sa temple was excluded from the Goryeong county. But early time in the 13th century the Hwaeom fraternity affiliated with the Haein-sa temple was organized at the Banryong-sa temple in the Goryeong region. It is noted that it was a society of Buddhist monks of the Hwaeom sect in the period of inactivity of the Gyo (Text) School during the military rule.

키워드
  • 대가야
  • 大伽倻
  • 가라
  • 加羅
  • 고령
  • 高靈
  • 야로현
  • 冶爐縣
  • 해인사
  • 海印寺
  • 반룡사
  • 盤龍社
  • 화엄결사
  • 華嚴結社
  • Dagaya
  • Gara
  • Goryeong
  • the Yaro County
  • the Haein-sa Tempte
  • the Banryong-sa Temple
  • the Fraternity of the Hwaeom S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