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문화권의 성립과 그 의미
The Establishment and Significance of Gaya Culture Circle
저자
백승충
발행연도
2008 
발행처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언어
Korean 
학술지명
嶺南學 
권호사항
Vol.13No.-[2008]  
수록면
61.0~109.0 
KDC
911.8 
초록

가야’는 흔히 국명으로 칭해지고 있으나, 삼국과는 달리 영역적으로나 관념적으로 통일된 국가체로 나아가지 못했기 때문에 가야지역 내의 독자적인 제 ‘세력권’ 혹은 ‘문화권’의 총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가야의 특징은 인근의 신라?백제와는 구분되는 공통의 정치?문화 요소를 가지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각 세력권별로 고유의 정치?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존재 시기나 양태에 있어 시?공간적인 편차는 있지만, 주요 정치?문화권으로는 2대 중심체로서 시간적으로 선후관계에 있는 김해 ‘가락국’과 고령 ‘가라국’을 비롯하여 함안 안라국과 산청?진주?고성의 고자국 등이 있다. ‘지역연맹론’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 가야의 제 정치?문화체는 가락국권?가라국권?안라국권?고자국권 등 네 권역으로 구분되는데, 정치적으로는 ‘연맹’ 혹은 ‘연합’의 성격을 띠고 있다. 4개의 권역 가운데 가락국권과 안라국권은 삼한 시기부터 두각을 나타내지만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도 권역이라든지 정치적 속성은 큰 변동 없고, 고자국권은 정치?문화적인 동질권으로 묶기에는 공간적 범위가 넓고 이질적 요소도 많다. 반면 가라국권은 정치?문화적 범주와 사회 발전 정도로 볼 때 가장 주목되는 권역인데, 비록 5세기 중반 이후 두각을 나타내지만 가야의 제 권역 가운데서는 고대국가의 요소를 가장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으로 대표되는 가라국권이 소국 단계를 지나 독자적인 정치?문화권인 ‘지역연맹체’로 발전하는 것은 5세기 중반~6세기 전반이다. 이것을 잘 보여 주는 것이 가라국 고유의 고총고분과 부장유물의 서열관계, 위신재의 사여, 초월적 왕호(=대왕)의 사용, 부(제)의 시행, 외교섭관계의 전개 등이다. 물론 삼국과 비교해 볼 때 이들 요소를 고대국가의 속성으로까지 말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라국권을 주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세력권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광역화된 동질적인 정치?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정치?외교?군사적으로 신라?백제와 대등한 관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종래의 가야사 인식은 김해 가락국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그러나 이제 가야지역에는 김해 가락국 이외에 고령 가라국은 물론 함안 안라국과 산청?진주?고성의 고자국도 당대 주요 정치?문화체로서 그 존재가 확인됨에 따라 가야사를 재구성함에 있어 비록 상대적 우열관계는 분명히 있지만 어느 한 정치?문화체를 중심으로 한 일방적인 서술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가야 전체사로 본다면 각각의 정치?문화권의 이질성 및 동질성을 밝혀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이를 통해 ‘가야지역사’ 혹은 ‘가야제국사’를 뛰어넘는 진정한 의미의 ‘가야사’를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초록(영문)

Gaya that didn't complete the unified State System territorially or presentationally differing from the Three Kingdom(삼국), strictly speaking, is the general term of the 'Culture Circle' or different independent 'Spheres of Power' to be discriminated against adjacent Silla and Backje. Namely, on the one hand Gaya regions had the common political and cultural features but on the other hand had the features of those peculiar to their own in each region of them. To put them concretely, there were 'Garak-guk(=Geumgwan Gaya)' in Gimhae, 'Gara-guk(=Daegaya)' in Goryeong as the two central kingdoms in the place though these both were being in the different time and place, and Anra-guk in Ham-an, Goja-guk in Sancheong·Jinju·Goseong. From the standpoint of the 'Essay on Regional League(지역연맹론)', these different polities and cultures in Gaya region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ur region circles such as Garak-guk Circle(가락국권), Gara-guk Circle(가라국권), Anra-guk Circle(안라국권), Goja-guk Circle(고자국권). Which in some cases politically made up the form 'League(연맹)‘ or 'Union(연합)'. Gara-guk Circle and Anra-guk Circle of them had stood out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Han(삼한시대) but didn't change in the region circle and social characteristic to the Era of the Three Kingdom. Goja-guk circle can't be included by the same government and culture circle with these both that the spatial region was too large as well as the there were many heterogeneous things. Then Gara-guk Circle is the most remarkable place when it is considered the social development, political and cultural category. It was clearly showed the some factors to characterize the Ancient State out of the Gaya' Powers(가야세력권), even if it became distinguished since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It was in the middl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that Gara-guk Circle(=Daegaya) to be represented by the Ancient Tombs of Jisan-dong(지산동 고분군) around Goryong(고령) advanced the 'Regional Leagues(지역연맹체)' based on the government and culture circle peculiar to their own over the phase of small country. To show well this is the Gochong Group(Ancient Tombs) peculiar Gara-guk's own, the rank relations among the buried relics, giving the prestige goods, using the transcendental King's name(the Great King), autonomously spreading out the diplomatic negotiations etc. But as compared with the Three Kingdom,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se point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States. Nevertheless, the main reason to pay attention to Gara-guk Circle is that it formed the same government and culture circle widen as no comparison with other Gaya' Powers. Moreover, though it was temporary, it carried out the negotiations as equals with Silla and Baekje in the Politics, Foreign and Military Policy. Up to now,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perception about the Gaya' History have been developed with Garak-guk in Gimhae as the center. But now, it is impossible to describe it one-sidedly with only any of a government and culture body as the center, according to verifying what have been Gara-guk of Goryeong, Anra-guk of Ham-an, Goja-guk of Sancheong·Jinju·Goseong as well as Garak-guk of Gimhae as the main the body politics in Gaya region those days though between them had unquestionably the relations of a comparativ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Consequently, from the History about the whole of Gaya,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trace th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about their respective government and culture circle to restore the History of Gaya in the true sense beyond the 'Regional History of Gaya(가야지역사)' or 'History about many Countries of Gaya(가야제국사).'

키워드
  • 정치
  • 문화권
  • 가락국권
  • 안라국권
  • 고자국권
  • 지역연맹체
  • The Government and Culture Circle
  • Garak-guk Circle
  • Anra-guk Circle
  • Goja-guk Circle
  • Regional Leag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