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國史記』에 보이는 4~5세기의 加耶와 三國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ree Kingdoms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Seen from the 『Samkuksaki』
저자
권주현
발행연도
2011 
발행처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언어
Korean 
학술지명
新羅文化(THE JOURNAL OF THE CENTER OF RESEARCH FOR SILLA CULTURE) 
권호사항
Vol.38No.-[2011]  
수록면
53.0~84.0 
KDC
911.0 
초록

대가야는 3세기말에 일어난 가야사회의 변동과 함께 본격적인 성장의 여지가 마련되었다. ‘포상팔국전쟁’이라는 남부제소국들의 분란에 휘말리지 않고 내륙에서 안정적 성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369년 백제 근초고왕이 서남해로를 장악하고, 가야지역으로 진출하였을 때 대가야가 가라7국 중 하나로서 등장하는 것은 바로 그 간의 성장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후 加耶의 대외관계는 친백제성향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것은 신라의 고구려에 부용화 되는 경향과 함께 한반도내의 세력균형의 일환을 이룬다. 5세기 초에는 고구려?신라연합군에 대항하여 가야제국이 백제, 왜와 연합하여 싸웠는데, 여기에는 任那加羅, 즉 대가야가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문헌기록을 통해서 볼 수 있는 4~5세기 가야사회의 모습 중 가장 주목되는 것은 바로 여성들의 활약이다. 『일본서기』에는 위태해진 가라왕실을 구하기 위해 가라국왕의 누이 기전지가 활약하고 있는데, 그녀는 사제였다고 추정된다. 금관가야의 허황후나 傭女도 같은 성격의 인물들이고, 신라의 내물왕과 실성왕 두 대에 걸쳐 왕비가 되는 미추왕녀 역시 사제로 서의 권위를 가진 자로서 그녀는 황남대총 북분의 주인공으로 추정된다. 한편, 제의용으로 사용된 뱀모양토우장식 통형기대가 대가야 중심부로의 집중도가 높다는 점은 대가야의 정치력이 주술적이고 종교적인 데서 나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반면 다라국은 무력과 기술적인 면에 있어서는 대가야에 필적할 수 있는 기량을 갖추었으나 대가야의 주술적 종교적 권위 하에 있었으며, 그것은 다시 대가야의 물리적인 힘으로 뒷받침되어 가야제국들의 세력을 결집시키는데 일조 했다. 6세기 들어서 가실왕이 가야금을 만든 것도 대가야왕의 관념적 주술성과 종교성을 대변하는데, 가야금에 깃들여 있는 사상적 배경은 전성시대였던 5세기에 이미 형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가야의 대외문화교류상을 보여주는 고고학자료로서 주목되는 것은 세 종류의 청동초두인데, 백제를 경유하여 들여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와 가야의 관계에 대해서 침묵하고 있는 『三國史記』가 유일하게 보여주고 있는 기록 즉, 481년 미질부성에서의 백제?가야 연합군의 신라지원이 이미 서로 간의 정치문화적 교류를 전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이들 초두가 물적인 자료로서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초록(영문)

Daegaya built up the base for a full-scale growth together with the upheavals risen in the Gaya society at the end of the 3rd century. Without any engagement in disorders of the southern small Gaya states, which named 'Posangpalguks' War(浦上八國戰爭)', Daegaya achieved a stable growth in the inland area. When the King Geonchogo of Baekje secured the west-south seaway at AD 369 and advanced to the Gaya region, Daegaya was appeared as one of the seven Gayas. This reflects the Dagaya's growth in that time. Since then, the foreign relation of the Gaya was represented as pro-Baekje tendency, and this shaped a balance of power in the Korean peninsula together with Silla's subordinate tendency to the Goguryo. In the beginning of 5th century, Gaya states allying with the Baekje and Japan fighted against the Koguryo-Silla unite forces, and Daegaya played a leading role in this war. The most notable appearances of Gaya society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as can be seen through the Literature Sources are women's activities. 『NihonShoki(日本書紀)』describes that Gijeonji(旣殿至), the sister of Garaguk king, played an active part to save the royal family when Garaguk was jeopardized. She was supposed to be a priest. Also the Queen Hur(許王后) or Yongnyo(傭女) of the Geumguan Gaya were the same characteristic women. The Michuwangnyo (味鄒王女) who became the queen over the era of two kings of Silla, King Namul and King Silsung, had the authority of the priest as well, and she is supposed to be the heroine of the northen mound of the Hwangnamdaechong(皇南大塚). Meanwhile, the high concentrativeness of excavation toward the central area of Daegaya for the Pottery Stand with Snake-Figurines, which were used for ceremonial rituals, means that the political power of Daegaya came from Shamanistic and Religious aspects. On the other hand, Daraguk had military forces and technologies being equal to those of Daegaya, but it was overwhelmed by the Shamanistic and Religious power of the King Daegaya. Consequentially Daraguk contributed for Dagaya to mobilize a coalition of Gaya states. Also, King-Gashil's invention of Gayageum in the 6th century shows the ideological shamanistic and religious inclinations of the Dagaya King. The ideological background involved in Gayageum had been already formated in the 5th century in which Gaya were having their heyday. Three kinds of Bronze Chodu(?斗) take notices as archeological specimens to show the appearance of foreign cultural exchanges of the Gaya states. They are supposed to be brought into the Gaya through the Baekje. The Samguksagi(三國史記) does not mention about any relationships between Gaya and Baekje, except the Baekje-Gaya unite forces' supports to the Silla in the Mijilbu(彌秩夫) at AD 481. The Chodu(?斗) represents as a Material evidence that those supports was realized on the assumption of the mutual political and cultural exchanges of both countries.

목차

국문초록
영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대가야가 浮上하기까지
Ⅲ. 주목되는 여성들의 정치력
Ⅳ. 대가야의 성장과 대외문화교류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 가야(Gaya)
  • 가라(Gara)
  • 포상팔국(Posangpalguk)
  • 임나가라(Imnagara)
  • 종발성(Jongbalsung)
  • 여성사제(Woman Priest)
  • 허황후(Queen Hur)
  • 용녀(Yonngnyo)
  • 황남대총(Hwangnamdaechong)
  • 미추왕(King Michu)
  • 뱀토우통형기대(Pottery stand with Snake Figurines)
  • 초두(Cho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