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지역 출토 마구와 소가야
A Study on Harness Excavation in Goseong, Gyeongsangnam-do and So Gaya
저자
류창환
발행연도
2014 
발행처
경남발전연구원 
언어
Korean 
학술지명
경남연구 
권호사항
Vol.10No.-[2014]  
수록면
66.0~93.0 
KDC
320.0 
초록

경상남도 고성군은 이른바 6가야 중 소가야의 고지로 전하는 지역으로, 군의 곳곳에 남아 있는 크고 작은 가야고분군은 그러한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이중 이 지역의 중심고분군으로 알려져 있는 송학동고분군과 율대리고분군, 내산리고분군에서는 재갈과 등자, 안장, 행엽, 운주, 마령, 사행상철기 등으로 구성된 기승용 마구가 다수 출토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승용 마구는 고성 소가야의 성장과 변화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우선 고성지역 출토 마구는 그 형식과 유례, 그리고 공반유물을 통해 볼 때 대체로 5세기 말에서 6세기 중엽에 해당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고성 소가야의 경우 당대의 대가야나 아라가야와 달리 마주 또는 마갑 등을 공반하는 중장마구가 결여되어 있고 실용성을 중시한 경장마구를 중심으로 장식성을 중시한 장식마구가 일부 포함되어 있는 점이 주목된다. 그 중에서도 송학동고분군에는 장식성을 중시한 장식마구가, 내산리와 율대리고분군에는 실용성을 중시한 기본마구 혹은 경장마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어서 고성 소가야는 송학동고분군 축조집단을 정점으로 그 아래에 율대리와 내산리고분군 축조집단이 위치하는 구조였음을 시사한다. 한편 고성지역 출토 마구 중에는 시기와 계통을 달리하는 외래계 마구가 다수 포함되어 있는 점도 주목되는데, 대가야계 · 백제계 · 신라계 · 왜계 마구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외래계 마구는 고성 소가야가 5세기 말 이래 고성 송학동을 중심으로 내산리, 율대리로 이어지는 관계망을 형성하여 대가야와 신라, 백제, 그리고 바다 건너 일본열도의 여러 세력과 교섭 또는 교류하는 과정에서 이입된 자료임에 분명하다. 이상과 같은 고성지역 출토 마구로 볼 때 고성 소가야는 남강과 남해안을 잇는 주변제국과의 교섭 또는 교류를 배경으로, 송학동 1A-1호분의 피장자를 중심으로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는 Ⅰ단계, 송학동고분군을 중심으로 내산리고분군 축조집단이 부상하는 Ⅱ단계, 송학동 1C호분의 피장자를 중심으로 국제무대의 중요한 일원으로 활동하는 Ⅲ단계로 성장 · 발전해간 것으로 추정된다.

초록(영문)

Goseong, Gyeongsangnam-do is said to have been the highlands of So Gaya among so-called six Gaya nations whose ancient tombs of various sizes remaining all over the area serving as evidence. In this area, horseback-riding harnesses composed of gags, stirrups, saddle, strap pendants, decorations, numbers and flag cases were found in great numbers inside Songhak-dong Ancient Tombs, Yuldae-ri Ancient Tombs and Naesan-ri Ancient Tombs that are known as the Central Ancient Tombs of this area to receive attention. Such horseback-riding harnesses reflect the growth and changes of Goseong So Gaya starting with harnesses discovered in Goseong area dating generally back to the end of fifth century through the middle of sixth century based on their patterns, origins and accompanying relics. Particularly, Goseong So Gaya lacked medium and long harnesses with accompanying helmets and armors unlike Dae Gaya and Ara Gaya, but notably possessed a part of decorative harnesses such as ornamental harnesses emphasizing practicality. Among others, decorative harnesses accentuating decorative features were found in Songhak-dong Ancient Tombs while basic or decorative harnesses focusing on practicality were mainly found in Naesan-ri and Yuldae-ri Ancient Tombs. This indicates Goseong So Gaya peaked in the group of builders in Songhak-dong Ancient Tombs flowing down to the group of builders in Yuldae-ri and Naesan-ri Ancient Tombs in terms of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horseback-riding harnesses discovered in Goseong area notably involve a number of foreign harnesses differing in periods and lines most of which are from Dae Gaya, Baekje, Sila and Japan. Such foreign harnesses must have been introduced in the course of negotiating and interacting with different powers in Dae Gaya, Sila, Baekje and Japanese Islands across the ocean when Goseong So Gaya formed a network connecting Naesan-ri and Yuldae-ri surrounding Songhak-dong, Goseong staring from the end of fifth century. The horseback-riding harnesses excavated from Goseong area reveal a history of Goseong Gaya growing and evolving through time. It began by negotiating and exchanging with surrounding nations across Namgang and the South Coast to form a strong power among buried people of Songhak-dong 1A-1 Tombs in StageⅠ. Then, it is estimated that the group of builders of Naesan-ri Ancient Tombs with Songhak-dong Ancient Tombs as the center emerged in stageⅡ to grow and develop into key members on the international stage with buried people of Songhak-dong 1C Tombs playing essential roles in stageⅢ.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출토예
Ⅲ. 편년
Ⅳ. 마구로 본 고성 소가야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 고성
  • 소가야
  • 송학동
  • 율대리
  • 내산리
  • 고분군
  • 마구
  • 외래계 마구
  • 교섭
  • 교류
  • Goseong
  • So Gaya
  • Yuldae-ri
  • Naesan-ri
  • tombs
  • harness
  • foreign harness
  • negotiation
  • ex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