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가야 취락의 분화와 전개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 of Silla and Gaya region
저자
공봉석
발행연도
2015 
발행처
영남고고학회 
언어
Korean 
학술지명
嶺南考古學(Yongnam Archaeological Review YONGNAM KOGOHAK) 
권호사항
Vol.-No.73[2015]  
수록면
28.0~49.0 
KDC
초록

영남지방은 대체로 3세기 후반 무렵, 주거의 구조적 분화가 진행되어 영남 동부와 서부지역, 서부지역은 낙동강 하류역과 서부내륙·남해안 일대의 광역 단위별로 다른 형식의 주거지가 확인된다. 이를 통해 대략적인 신라와 가야의 구분은 가능하였으나, 누대에 걸쳐 자연스럽게 형성된 거주의 방식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그것이 당시 정치체의 동향을 적극적으로반영한다고는 볼 수 없었다. 이에 3~4세기대 권역별 취락 양상에 주목하였는데, 특히 정치 권력의 성장과 직·간접적으로관련 있는 창고의 운영 주체를 통해 취락을 분석하였다. 대규모 창고군이 갖춰진 취락을 기능에 따라, 중심취락(1유형)· 교통의 요지에 위치한 취락(2유형)·생산취락(3유형)으로 구분하였다. 1-3 유형의 취락 분포를 통해 볼 때, 신라권역은 다양한 루트를 이용하여 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교환망을 일찍부터 구축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의 경주는 타 지역 중심지와 대등한 수준이었다면 4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주요 교환망을 매개로 점차 중심지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고총사회로진입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 금관가야권역은 제 유형의 취락이 김해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이는 공간적으로좁은 범위에서 통합이 이루지다 보니 상대적으로 중심지의 기능이 강화되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그리고 영남 서부내륙 및남해안 일대에서 1·2유형 취락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것은 취락의 체계가 타 권역과 달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초록(영문)

In Yeongnam region, residence began to differentiate around the third century, resulting in different residential patterns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part of the region. Although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residence of Silla and that of Gaya, it is not easy to learn the trends of political system through them. Hence, this study focused on the patterns of a settlement according to the region in the third and the fourth century. Above all, it tri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 settlement by the operational subject of warehouses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power. In accordance with functions, settlement with large warehous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 a settlement with central-place func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e exchanges and trades (type 1); a settlement near a good transportation (type 2); and a settlement of production (type 3). Silla region seemed to have established a good transportation, with which it could reach large areas through various routes to see the settlement distribution of its own type. Gyeongju, in the third and fourth century, had an equal level of prosperity with that of centers of neighboring regions. By the late fourth century, it is believed to have intensified the central-place functions through the main exchange network, which helped it get to the society of large mounded tombs. On the other hand, Geumgwangaya region is seen to have its settlement mainly in the central-place, because it had been integrated within a small scale, which relatively led to the reinforcement of the central-place functions. Distinction of a settlement such as type 1 and type 2 between the western inland of Yeongnam region and the southern coast is not clear, because its settlement system differed from that of other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