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지역 고분자료와 묘제의 지역성 고찰
The old tomb materials and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a graveyard system in Gaya
저자
김세기
발행연도
2008 
발행처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언어
Korean 
학술지명
嶺南學 
권호사항
Vol.13No.-[2008]  
수록면
165.0~210.0 
KDC
911.8 
초록

이 논문에서는 가야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고분 자료를 통하여 가야 묘제가 지역별로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들은 어떤 역사적, 고고학적 의미가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가야고분의 분포지역은 낙동강 중류에 위치한 성주, 고령으로부터 하류에 위치한 김해를 중심축으로 그 서쪽 내륙 지역인 합천, 거창, 함양, 산청과 남해안에 연접한 함안, 고성, 진주에 이르고 있다. 또한 호남 동부지역에 해당하는 남원, 진안, 장수지역과 호남 남해안인 순천까지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가야고분들은 입지와 묘제, 출토유물 등에서 공통점과 각기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고령의 대가야권역은 단곽순장 석실분과 다곽순장 석실분으로 발전하며, 그 크기나 유물의 양에서 다른 지역보다 우수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 지역적 범위도 고령, 합천, 거창, 함양, 산청을 넘어 남원, 진안, 장수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을 차지한다. 더 나아가 호남 남해안인 순천지역까지 진출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김해의 금관가야권역은 단곽 목곽묘에서 일자형 주부곽목곽묘로 발전하며 김해지역에 한정된 분포범위를 가지고 있으나, 한경 등 발달된 선진문물이 일찍 들어오는 지역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함안의 아라가야권역은 목곽묘에서 단실석실분으로 발전하며, 매우 긴 세장형 수혈식 석실에 벽감이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가야묘제의 지역성을 통해 볼 때 가야지역은 대가야권역, 금관가야권역, 아라가야권역 등 세 개의 권역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5-6세기의 가야세력은 3개의 대권역으로 분립되어 있었으며, 그중에서 대가야세력이 가장 강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록(영문)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which a graveyard system had by regional groups, and the meaning what they had historically and archaeologically, by analyzing the old tomb materials excavated in Gaya territory. The distribution regions of old tombs were extended from Seongju and Goryeong located at the middle reaches of Nakdong River, centering around Gimhae located at the lower reaches, to Hapcheon, Geochang, Hamyang, Sancheong which located at inland area, and Haman, Goseong, Jinju connected at the south coast. Also, they were extended comparatively at broad region to the Namwon, Jinan, Jangsu located at the eastern part of Honam, and Suncheon located at the south coast of Honam. The old tombs of Gaya were revealed the local characteristics in conditions of location, a graveyard system, and excavated articles. The region controlled by Daegaya of Goryeong was developed from a stone tomb with a outer coffin to a stone tomb with outer coffins in formula of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was superior to another region in view of a size and a quantity of relics. The influence of Daegaya was widespread over Goryeong, Hapcheon, Geochang, Hamyang, Sancheong to Namwon, Jinan, Jangsu. Moreover, it advanced into Suncheon located at the south coast of Honam. The region controlled by Geumgwangaya of Gimhae was developed from a stone tomb with a outer coffin to a wooden tomb with a center outer coffin in form of sideways. This formula of tombs was restricted in the region of Gimhae, and had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e region which advanced civilization such as Hangyeong was adopted. The region controlled by Aragaya of Haman was developed from a wooden tomb to a stone tomb with a outer coffin, and had the local characteristics with niche in a stone tomb digged a ground by slender and long form. As we analyzed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a graveyard system in Gaya, the region of Gaya was classified into Daegaya, Geumgwangaya, and Aragaya. Therefore, the power of Gaya was also divided into three scope of influence. Among the three powers, the influence of Daegaya was exceedingly far-reaching in 5-6th century.

키워드
  • 가야지역
  • 고분
  • 묘제
  • 목곽묘
  • 석실분
  • 순장
  • Gaya territory
  • old tombs
  • a graveyard system
  • a wooden tomb
  • stone chamber tomb
  • sacrificial bu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