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가야지역 분구묘의 특징과 형성과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ment of Mounded Tombs the in the Sogaya Area
저자
권용대
발행연도
2007 
발행처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언어
Korean 
학술지명
야외고고학 
권호사항
Vol.2No.-[2007]  
수록면
60.0~97.0 
KDC
902.505 
초록

소가야지역의 분구묘는 원형의 성토분구를 먼저 마련한 다음 묘광을 굴착하여 석곽이나 석실 등을 조성하였다. 옹관, 목관·목곽 등을 수평 내지는 수직으로 추가 매장하여 분구의 형태가 다양한 영산강 유역의 분구묘와 소가야 周邊諸國의 봉분묘 축조방법과 뚜렷한 차이를 보이므로 소가야식분구묘로 설정하였다. 소가야식 분구묘는 제1 매장주체부를 제외하고는 유구의 구조, 규모, 부장유물에서 피장자간의 우열 관계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소가야식분구묘는 혈연을 중심으로 한 가족묘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성격의 분묘형태는 청동기시대 구획묘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의 구획묘는 周溝나 石築을 조성한 다음 내부에 1기 내지 2기 이상의 매장주체부가 마련된다. 하나의 묘역을 공유하면서 다곽식으로 연접시켜 배치한 형태는 분구묘와 구획묘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는 사회발전단계에서 차이를 가지지만 매장습속에서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구획묘와 분구묘는 남해안지역의 특징적인 묘제로 판단되며 政治權의 범위를 넘어선 하나의 墓制文化圈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소가야지역에서 영산강유역과 유사한 삼한시대 주구묘가 거의 확인 되지 않아 청동기시대부터 삼한, 삼국시대까지 묘제의 계보를 파악하기 어렵다. 오히려 영남지방에서 주구묘는 경주와 울산, 대구 등지에서 관찰된다. 따라서 삼한시대 주구묘는 정치체마다의 고유한 전통적 기반 위에서 선택적으로 채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가야지역에서 분구묘가 축조될 수 있었던 배경은 당시 대가야와 신라, 백제, 왜와 관계를 맺으면서 해상과 내륙의 거점지로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여 성장할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분구묘는 외래계 유물과 함께 지배집단의 독점적 지위를 과시하는 상징물로 판단된다.

초록(영문)

Mounded tombs from the Sogaya region consist of circular earthen mounds into which multiple stone cist and stone lined burials were incorporated. These multiple burial mounded tombs present a stark contrast to those of the Yeongsan River Basin in which the later addition of jar burials, wooden coffin burials and wooden cist burials resulted in earthen mounds of varying shapes. The mounded tombs of the Goseong (Sogaya) area can broadly be divided into two phases. The Phase I tombs contain multiple stone lined pit burials of a narrow rectangular shape which were constructed at different times. Phase II tombs have stone burial chambers with tunnel-like entrances into which later burials were incorporated. The lack of differentiation in terms of burial structure, size and grave goods - apart from the primary burials - suggest that these mounded tombs may represent communal burials of blood-related kin. This form of kin based communal burial can also be observed in the 'stone boundary burials' of the Middle Bronze Age. The stone boundary burials consist of one or two burial compartments, often attached in a row, which are surrounded by a common stone boundary delineating the mortuary space. The use of multiple graves within a common burial space, in both Sogaya multiple mounded tombs and the stone boundary tombs, indicates the continuation of a common burial tradition within the differing social context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Bronze Age. As these two forms of burial are characteristic of the Namhae (southern coastal) region, it is possible to suggest the existence of a common burial tradition which went beyond the boundaries of political entities. Multiple mounded tombs of the Three Ham period have yet to be identified in the Goseong area, however, indicating a discontinuity in burial tradition. It may be that in the Three Han period, stone boundary tombs came to be replaced by wooden coffin tombs which were introduced into the region along with the 'bowl with clay stripe' culture. It is argued that the geographic position of the Goseong area, which enabled it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Daegaya, Silla, Baekje and Wae and act as a key locale between inland and costal regions, played a key role in ensuring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the Sogaya polity. It is in this political context that the mounded tombs came to used in the Goseong area, symbolizing, along with foreign objects, the independent status of the ruling elit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小加耶地域 墳丘墓의 構造分析
1. 第1 埋葬主體部 石槨
2. 第1 埋葬主體部 石室
Ⅲ. 小加耶地域 墳丘墓의 變化樣相과 性格
1. 小加耶地域 墳丘墓의 變化樣相
2. 小加耶地域 墳丘墓의 在地的·外來的 性格
Ⅳ. 小加耶地域 墳丘墓와 先史時代 墓制의 關係
1. 靑銅器時代 區劃墓와의 關係
2. 三韓時代 周溝墓와의 關係
Ⅳ.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 소가야식분구묘
  • 구획묘
  • 소가야정치체
  • 묘제문화권 Sogaya type mounded tomb
  • Stone boundary tomb
  • Sogaya polity
  • Burial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