湖南 東部地域의 加耶勢力과 그 成長過程
The Gaya of the East Honam Region and Its Growth Process
저자
郭長根
발행연도
2004 
발행처
호남고고학회 
언어
Korean 
학술지명
湖南考古學報 
권호사항
Vol.20No.-[2004]  
수록면
91.0~124.0 
KDC
911.0025 
초록

종래의 지표조사나 발굴조사에서 축적된 고고학 자료를 교통로의 조직망에 대입시켜 호남 동부지역에 기반을 둔 가야세력의 성장과정과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시 말하면, 『山經表』의 내용을 호남 동부지역에 그대로 적용하여 錦江·蟾津江·南江 수계권으로 나눈 다음, 가야세력이 수계권별로 어떤 성장과정을 보였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런데 地名의 音相似을 근거로 호남 동부지역에서 유일하게 6세기 전반까지 문헌에 등장하는 上己汝이 있었던 곳으로 비정된 섬진강 수계권에서는, 그것을 입증해 주는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 밀집 분포된 금강의 동부 지역권과 남강 수계권은, 錦南湖南正脈 혹은 白頭大幹의 산줄기들로 가로막혀 지형상으로는, 섬진강 수계권과는 별개의 독립된 지역권을 형성하고 있다. 게다가 토기류의 조합상과 고총의 발전상에서 밝혀진 바로는, 금강의 동부 지역권과 남강 수계권에 지역적인 기반을 둔 가야세력은, 대가야와의 긴밀한 교류관계를 바탕으로 각기 다른 가야계통의 국가단계의 정치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름 아닌, 금강의 동부 지역권에는 대규모 築城과 烽燧施設을 운영했던 것으로 알려진 가야계통의 소국, 반면에 남강 수계권에는 백제가 육로를 따라 서부경남지 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에 그곳을 차지하기 위해 6세기 초엽 이른 시기에 伴跛갈등관계를보였던 가야계통 소국인 己汶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 된다.

초록(영문)

The purpose of his paper is to examine the growth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ya force, which was built in the east Honam region, by substituting previous surface surveys and the accumulated archeological data for the network of roads of that time. In other words, applying the contents of Sankyeongpyo to the east Honam region and dividing it into three river spheres, such as Geum-gang, Seomjin-gang, and Nam-gang,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what growth processes each of the three spheres of Gaya showed. According to the Sound Similarity Theory, historians have presumed that there was Sanggimun in the Seomjin-gang sphere, the east Honam region, which was the only recorded country in the history until the early 6th century, but the middle- or large-scale old tombs of Gaya countries which verify the existence of Sanggimun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On the contrary, the east region of Geum-gang and Nam-gang spheres, where the middle- and large-scale old tombs of Gaya were densely and widely distributed, formed the individually different regional ranges from the Seomjin-gang sphere geographically, because they are obstructed naturally by the mountain ranges of the Geumnam Honam Jeongmaek or Baeckdudaega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llection of the various earthenwares excavated and the development of old tombs, there wa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 Gaya, which was built in the east range of Geum-gang and Namgang water spheres, existed together with many other Gaya-related small countries of respectively different state-level reign structures, based on the close interchange relationship with the Great Gaya.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re was a small country of Gaya line that took charge of building a large-scale construction of walls and managing signal-fire posts in the east range of the Geum-gang sphere, while there seemed to be Gimun, also one of the small countries of Gaya, in the Nam-gang sphere, for which Baekje revealed conflicts with a small country Banpa in the early 6th century, when Baekje tried to attack and occupy the west Kyeongnam region by land.

목차

Ⅰ. 머리말
Ⅱ. 錦江 水系圈의 加耶勢力과 그 性格
Ⅲ. 蟾津江 水系圈의 加耶勢力과 그 性格
Ⅳ. 南江 水系圈의 加耶勢力과 그 性格
Ⅴ. 맺음말

키워드
  • 산경표
  • 백두대간
  • 금남정맥
  • 호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금강
  • 섬진강
  • 남강
  • 교통로
  • 월성치
  • 육십령
  • 중치
  • 치재
  • 여원치
  • 입망치
  • 산성
  • 봉수
  • 야철지
  • 고총
  • 봉토분
  • 말무덤
  • 기문
  • Sankyeongpyo
  • Baeckdudaegan
  • Geumnam Honam Jeongmaek
  • Geum-gang
  • Seomjin-gang
  • Nam-gang
  • Kyeongnam
  • Baekje
  • Gaya
  • Tae-Gaya
  • Gimun
  • Ban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