陜川 玉田古墳群 出土 加耶 耳飾 硏究
(A)study of Gaya Earrings from Hapcheon Okjeon tombs
저자
이은혜
발행연도
2017 
학위수여기관
동국대학교 
학위논문사항
고고미술사학과 2017. 8 
형태사항
59 p : 삽도 ; 26 cm. 
KDC
초록

耳飾은 귀걸이 혹은 귀고리를 뜻하는 것으로, 귀를 치장하는 장신구를 지칭한다. 수하부의 유무에 따라 素環耳飾과 垂下部耳飾으로 나누며, 주환의 크기에 따라 太鐶式과 細鐶式으로 분류한다. 가야 이식들은 모두 세환식이며, 수하식에서 지역·양식적 특징을 찾을 수 있다.
 가야 이식은 5-6세기 서부경남의 대가야고분군을 중심으로 출토되며, 남원·장수·순천 등 전라도 지역에서도 대가야계 이식을 확인할 수 있다. 가야고분군 중 수하부 이식 출토량이 가장 많은 것은 총 22쌍, 1점이 출토된 합천 옥전고분군이다. 합천은 다라국으로 추정되는 지역으로, 옥전고분군은 다라국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지역 및 양식적 특징을 분류할 수 있는 수하부 이식 출토 수량이 가장 많은 합천 옥전고분군 출토 수하부 이식으로 설정한다. 또한 옥전고분군 출토 이식들의 현지 생산 가능성을 주장하기 위해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비롯한 대가야권역 출토 이식들을 비교 자료로 제시한다.
 본고에서는 이식의 구조, 중간식, 수하식으로 나누어 형식을 분류하고, 제작기법과 특징에 대하여 고찰한다. 중간식으로는 공구형, 수하식으로는 원추형과 치자형에서 제작 및 양식적 특징이 드러난다.
 형식과 제작기법 특징을 기반으로 옥전고분군에서 출토되는 이식들을 총 4단계로 세분하여 고찰하였다. 이식의 유입(5세기 전반) 단계에서 출현 하는 옥전고분군 출토 이식은 한성백제와 강한 영향을 보여, 한성백제의 지리적 거점지역이었던 다라국으로 사여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옥전양식의 제작기(5세기 3/4분기)부터는 가야 이식의 특징으로 분류되는 원추형 수하식이 출현·제작된다. 옥전양식의 성립과 발전기(5세기 후반)는 가장 많은 수량의 수하부 이식이 출토된 단계이다. 이 시기는 원추형 수하식 발전이 두드러지며, 5세기 4/4분기-6세기 1/4분기가 되면 대가야권역 출토 수하부 이식들이 하나의 모본을 공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6세기전반(옥전양식의 쇠퇴)에는 치자형의 수하식을 갖춘 이식이 옥전고분군과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비롯한 대가야전역에서 출토되고, 옥전양식은 점차 쇠퇴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이 시기 옥전고분군 출토품은 창녕 지역에서 출토되는 이식들과 제작기법 및 장식에 있어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들 지역 간에 긴밀한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가야 이식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가야권역에서 출토된 이식들이 일괄적으로 대가야(고령)에서 제작하여 사여하였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 결론에 대한 문제 제기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식의 제작기법과 양식적 특징을 비교해 옥전고분군과 대가야권역에서 출토되는 이식들 간 차이를 제시하였다. 고령 지산동고분군을 비롯한 대가야권역에서 출토되는 동일 양식의 수하부이식들은 제작 기법 및 장식에 있어 유사성이 확인된다. 그러나 옥전고분군 출토품은 대가야이식들과 양식을 공유하면서 세부적인 장식 및 제작기법은 옥전 고유의 양식과 융합한다. 따라서 옥전고분군의 피장자, 즉 다라국은 지배계층은 현지에서 금공품을 제작하여 소유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主要語: 加耶, 大加耶, 耳飾, 陜川玉田古墳群, 高靈池山洞古墳群, 裝身具, 金工品, 金屬工藝, 威勢品, 生産, 製作技法, 工房, 匠人.

초록(영문)

Gaya earrings were buried in 5~6th century, focus on Dae Gaya tomb group of western Gyeongnam. And earrings affiliated Dae Gaya can be identified in Jeollado ; Namwon, Jangsu, Suncheon etc. Among Gaya tombs, in Okjeon tomb group in Hapcheon, Suhabu earrings were most excavated - 22 pairs in total, and a earring Okjeon tomb group is known as tomb for governing class.
 Also Suhabu earrings are the representative legacy of Dae Gaya earrings and characteristics in style which can be classified.
 Accordingly,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Suhabu earrings excavated in Okjeon tomb group in Hapcheon where Suhabu earrings were most excavated.
 To argue possibility of local production of the earrings excavated in Okjeon tomb group, the author suggested earrings excavated in Dae Gaya area including Jisandong tomb group in Goryeong as data for comparison. The study tried to classify type such as structure of earrings, Middle type, Suhashik.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manufacturing skills and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 characteristics in manufacture and style were disclosed in Suhashik. Existing studies about Gaya earrings is that all the earrings excavated from Dae Gaya area were made and donated in Dae Gaya(Goryeong).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about this conclusion. The author compared manufacturing skills and characteristics in style, which can be suggested difference between the earrings excavated in Okjeon tomb group and Dae Gaya area. It is identified that same style of Suhabu earrings excavated from Dae Gaya area including Jisandong tomb group of Goryeong have similarity in manufacturing skills and decoration. But Excavated earnings in Okjeon tomb group are fused with external elements in detailed decoration and manufacturing skills while excavated earrings earnings in Okjeon tomb group shared style with Dae Gaya earrings. Therefor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rulers of the Daraguk, who were buried inside the Okjeon tomb group, produced metal artifacts locally and owned them.

목차

Ⅰ. 머리말 = 1
1. 이식의 명칭과 용례 = 4
2. 가야 이식 출토 현황 = 8
3. 연구현황 및 연구목적 = 16
Ⅱ. 가야 이식의 형식과 제작기법 = 19
1. 형식 = 19
2. 제작기법 = 28
Ⅲ. 옥전고분군 출토 이식의 변화 양상 = 41
1. 이식의 유입 = 42
2. 옥전양식의 제작 = 50
3. 옥전양식의 성립과 발전 = 57
4. 옥전양식의 쇠퇴 = 69
Ⅳ. 옥전과 지산동 이식의 양식과 생산 = 84
1. 양식적 특징과 비교 = 84
2. 생산과 유형 = 94
Ⅴ. 옥전고분군 출토 이식으로 본 다라국의 대외관계 = 107
1. 백제·신라와의 교섭과 교류 = 107
2. 다라국과 대가야연맹체 = 118
Ⅵ. 맺음말 = 126
參考文獻 = 131
Abstract = 135
表目錄 = 137
揷圖目錄 = 139
圖版目錄 = 140
圖版 = 142

소장기관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16)

키워드
  • 加耶
  • 大加耶
  • 耳飾
  • 陜川玉田古墳群
  • 高靈池山洞古墳群
  • 裝身具
  • 金工品
  • 金屬工藝
  • 威勢品
  • 生産
  • 製作技法
  • 工房
  • 匠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