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耶 環頭大刀 硏究
(A) Study of sword with a ring pommel of the Gaya
저자
이승신
발행연도
2008 
학위수여기관
홍익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사항
미술사학과 한국미술사 전공 2008.6 
형태사항
KDC
초록

변한을 모체로 성장한 가야는 중앙집권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연맹체로 존속하다 562년 멸망하였다. 농업생산력과 철, 교역을 바탕으로 성장한 가야는 김해를 맹주국으로 하는 전기가야 연맹체와 5세기 이후 대가야 중심의 후기가야 연맹체 형태로 운영되었다. 이는 5세기 중엽 무렵부터 대가야권을 중심으로 금공위세품의 제작이 증가하고 이후에는 고령토기와 함께 각지로 확산되어 가는 모습에서 엿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확산과정은 고대일본에서도 확인되어 당시 가야와 왜의 밀접한 교류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위세품은 자신의 권위를 드러내는 상징적인 물품으로 관이나 관모, 이식, 대금구, 환두대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환두대도는 권력, 즉 병권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상징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환두대도는 둥근 고리를 가진 칼로 5세기에 이르러서는 실용적인 무기가 아닌 자루와 칼집 등을 화려하게 꾸미는 장식대도가 본격적으로 성행한다. 이는 지배층이 자신의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지배의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즉 재지 지배층에게 환두대도를 사여함으로써 그 지역을 자신의 세력 하에 두고 재지세력은 이를 통해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성격을 지닌 환두대도의 활발한 제작은 곧 권력의 강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같은 시기 가야에서 환두대도가 많이 제작되고 각 지역으로 확산되는 현상은 바로 가야의 세력이 매우 강대했음을 보여주는 근거라 하겠다. 또한 환두대도에는 지배자의 상징성을 나타내는 위세품 가운데 가장 많은 제작공정이 포함되어 있어 각 부분에 사용된 재질이나 기법 등의 측면에서 볼 때 당시의 모든 제반 상황을 반영하는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즉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하는 위세품에는 당시 수준높은 금속공예기술이 표현되는데, 특히 환두대도는 금속 공예의 발전상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유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백제나 신라에 비해 가야 대도에 당시 새로운 금속공예기술인 상감기법과 타출기법이 많이 사용된 점과 왕이나 지배층을 상징하는 용봉문 도상을 금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여 표현된 점이 매우 주목된다. 가야는 5세기 전반부터 백제의 대도문화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발전하였다. 그러나 대가야의 발전이 절정에 달하는 5세기 후반경부터 옥전 고분군을 중심으로 가야에서는 독자적인 대도를 본격적으로 제작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우선 고리와 고리 안의 도상을 일체로 주조하는 기법은 같은 시기 백제 대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가야 대도를 규정짓는 하나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이후 가야에서 제작되는 대도는 이 기법을 주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5세기 후반 옥전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은판으로 고리와 병두·초구금구를 장식하는 용봉문 환두대도는 가야 대도의 발전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즉 다소 복잡한 형상을 타출로 표현하는 기법은 삼국시대 유물에서 많이 확인되지 않는데, 가야 환두대도에 지배층을 상징하는 용이나 봉황 등의 다소 복잡한 형상이 타출로 많이 표현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6세기 초 남원 월산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귀갑계화문 상감 환두대도는 가야 대도의 독자적인 상감문양을 표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당시 귀갑계문을 상감으로 시문한 유물은 가야에서만 확인되는데, 창녕 계성에서 출토된 방두대도에는 귀갑계 화문과 봉황문이 하나의 공간 안에 함께 표현되기도 한다. 대도에 상감되는 문양은 점점 그 범위를 확대하여 고리에만 시문하던 것을 병두·초구금구에까지 표현한다. 이와 같은 상감기법은 가야 대도 역사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나아가 도신에 문양을 상감하거나 명문이 상감된 대도도 출토된다. 가야는 철을 바탕으로 한 원거리 교역 중심지로서 일본과 지속적인 교류를 유지하였으며, 4~5세기에는 가야에서 많은 이주민들이 귀화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가야 금속공예의 발전은 고대부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고대 일본에 영향을 미친다. 가야만의 독특한 귀갑계문의 상감문양과 고리 내 쌍용봉의 도상, 고리와 금구를 타출한 금판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대도가 출토되는 사실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환두대도를 통해 당시 가야의 성장과 금속공예의 발전, 그리고 영향관계와 그 의의를 살펴볼 수 있는데, 나아가 가야의 금속공예기술은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 지역에서 성행했던 상감기법은 이후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시대에 금속기에서 더욱 활짝 개화되는데, 이는 가야 금공기술의 전통의 바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초록(영문)

Gaya(伽倻, -562) being based on ByeonHan(弁韓, one of three unions) had kept being as a union not to be a unified nation, has fallen to ruin. But after 5th century, since DaeGaya(Great Gaya) has appeared as the leader union, it seemed to apparently have its cultural area. It appears that the plumes like a sword with a ring pommel (環頭大刀, Hwandoodaedo in Kor.) were seen through all the area. In short, a sword with a ring pommel is a sort of a weapon and a symbol of power of arms, its role has been stressed more and more. Besides in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 power system, this was applied to appeal the authority of the ruling or to control and unite the locals. The excited making of a sword with a ring pommel means tha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Gaya. The workmanship of a sword with a ring pommel includes the progress of work like golden, wooden and leather work, is the result of a union of the finest workmanship like the materials and methods used each part. Especially, the various workmanships of metal expressed in a long sword, the finest method of those days has used in a sword with ornaments. As selecting a pattern with a dragon and phoenix as the symbol of the authority of ruling, and it was emphasized more as a symbol of a plume of the authority of ruling. The mentioned above characteristics are outstanding than Three Kingdoms(unions)(三國), those are the very inlaying, stamping out and manufacturing of a sword with a ring pommel decorated with a pattern with a dragon and phoenix in the plates in gold and silver. This shows that not only the growth of Gaya but als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of metal work. Gaya has developed as partly accepting a long sword of Baekjae(百濟) Dynasty from the first half of 5th century. But, from the latter half of 5th century that the development of Great Gaya has been at the summit, Gaya seemed to manufacture in earnest its unique long sword. Above all, the workmanship that cast a ring and an icon within a ring in one, is not able to find out in Baekjae, it is the characteristic that this is able to specify a sword of Gaya. And a sword decorated with the plates in gold and silver stamped and expressed the crossed dragons, this apparently shows the splendid culture in a long sword of Gaya. As above, not simple repetition of pattern but complicated figure like dragon etc. this method was not able to find out in Baekjae while was very frequent in Gaya, so very remarkable. And a sword with a ring pommel inlaid with a tortoiseshell and flower pattern of Gaya which is supposed to be the early 6th century have important meanings to express its own unique inlaid work. The pattern expressed inlaid work in a sword have been enlarged. As a long sword decorated with a dragon pattern in gold and silver plates which been stamped out was in vogue, but it seemed to lost its efficiency as ornament. But, the inlaid work has been continuously appeared throughout Gaya. Besides a sword inlaid not only patterns but also inscriptions in the body of a sword were excavated, especially the inscriptions expressed not only the role of an epigraph that is able to suppose the society of that time but also the role of emphasizing the meanings to symbolize the authority to show the owner of a sword or the lucky signs or to be a Royal gift. Gaya was the center of trade with foreign nations in the base of iron, has kept up with Japan their relations. In 4th-5th, so many emigrants from Gaya have settled in Japan. In this situation, the finest metalwork of Gaya had influence on Japan that has been very closely linked to Gaya from ancient times. These is to ensure that the particular Inlaying with a tortoiseshell pattern of Gaya, the icon of double dragons and phoenixes in a ring of a sword and a sword designed splendidly with golden palates which have been stamped out. As mentioned above, through a sword with a ring pommel of Gaya, it was able to examine the growth of Gaya and the development of metalwork besides its meanings, too. Especially the Inlaying that had flourished in this area through Unified Silla Dynasty (新羅) has more flourished in the field of metalwork in Goryeo(高麗) Dynasty. It was because of the traditional workmanship of metalwork of Gaya.

목차

머리말 1
Ⅰ. 三國時代의 環頭大刀 5
1. 환두대도의 개념과 분류 5
2. 삼국시대 환두대도의 기원과 발전 9
Ⅱ. 加耶 環頭大刀의 製作背景과 出土現況 16
1. 가야의 발전과 대외관계 16
2. 가야 환두대도의 분포와 편년 24
Ⅲ. 裝飾技法과 圖像 33
1. 상감기법 34
2. 타출기법 52
3. 용봉문 도상 61
Ⅳ. 加耶 環頭大刀의 特徵 및 意義 72
1. 가야 환두대도의 특징과 의의 72
2. 일본 대도에 보이는 가야 환두대도의 특징 73
맺음말 85
표 87
참고문헌 95
삽도목록 109
표목록 109
도판목록 110
도 판 113
Abstract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