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동부지역 가야토기의 검토
A Study on Kaya Potteries in the Eastern Area of Jeonnam Province
저자
이미란
발행연도
2008 
학위수여기관
목포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사항
고고인류학과 고고학전공 2008. 8 
형태사항
v, 102 p. : 삽화 ; 26 cm 
KDC
초록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전남 동부지역 가야토기 자료의 분석을 통해 변화양상과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먼저 필자는 전남 동부지역을 섬진강유역권․동부 동남권․동부 서남권 등 세 권역으로 나누어 가야토기가 출토된 유적을 살펴보고, 각 유구에 따른 토기의 양상을 정리하여 기초자료로 삼았다. 또 가야토기의 개별유물 속성을 파악하여 형식분류하고, 주변지역인 경남 서부지역과 전북․경북지역의 토기자료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6세기경에 전남 동부지역에서 사용된 가야토기를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하고, 그 변화양상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기는 4세기 초~ 5세기 초로 편년된다. 유물이 출토되는 지역은 전남 동부권의 전 지역에서 확인되나 주로 섬진강유역과 남해안에 인접한 지역에서 출토된다. 토기는 대부분이 주거지에서 출토되며, 일부 분묘에서도 확인된다. 이 토기들은 주로 함안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아라가야의 유물이며, 금관가야의 유물이 섬진강유역인 구례에서 소량 확인되었다. Ⅱ기는 5세기 전반~5세기 중엽으로 편년된다. 출토되는 지역은 동부 서남권과 동부 동남권에서 출토된다. 유물은 대부분 주거지에서 출토되며, 일부 분묘에서도 확인된다. Ⅰ기에 등장하는 유물이 사라지고 진주․고성․산청지역을 중심으로 한 소가야지역과 창녕지역의 유물이 출토된다. 이를 통해 전남 동부지역과 가야지역과의 관계망이 함안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아라가야 지역에서 고성․진주․산청 등을 중심으로 하는 소가야 지역으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5세기 중엽으로 편년되는 창녕지역의 유물이 고흥․여수와 해남에서 확인되고 있어 남해안을 중심으로 창녕세력과의 교류를 상정해 볼 수 있다. Ⅲ기는 5세기 후반~6세기 초로 편년된다. 출토되는 지역은 섬진강유역권과 동부 동남권으로 한정된다. 유물은 생활유적과 분묘유적 모두에서 확인되나 대부분이 분묘유적에서 출토된다. 생활유적에서 출토되는 유물은 이전 시기부터 확인되는 소가야지역의 유물이며, 분묘유적에서는 일부 소가야지역의 유물도 확인되나 대부분 대가야지역의 유물이 분묘와 함께 확인된다. 이 시기는 고구려의 남진정책으로 인한 백제의 웅진천도 등의 사건이 일어난 시기로 백제의 영향력이 약해진 사이 대가야와 경남 서부지역의 소가야가 전남 동부지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Ⅳ기는 6세기 중엽 이후로 백제의 영역화가 이루어진 이후이다. 유물은 주로 분묘유적과 산성에서만 확인된다. 가야토기는 재지에서 만들어 진 것으로 보이는 조잡한 형태의 것이 주로 출토되며, 가야유물 보다 백제유물이 주를 이룬다. 이상에서 전남 동부지역 가야토기 출토양상 변천을 통해 동부지역의 대외 관계망이 아라가야→소가야․창녕지역→소가야․대가야→대가야․백제 등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유물의 분석 작업이 토기류에 한정되어 공반 유물과의 비교․분석이 세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리고 조사된 자료가 부족하여 일부 해석상의 논리 비약이 있었다. 이는 추후의 연구를 통해 수정․보완하고자 한다.

초록(영문)

<Abstract> This thesis analyse and seek the meaning of changes of Gaya potteries in the eastern area of Jeonnam province. Firstly, I described the sites where the Gaya potteries were found in the eastern area of Jeonnam which can be divided into Seomjin river area, south-eastern area and south-western area, and gathere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as the features. Types of Gaya potterie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individual artifacts while the pattern of changes were analysed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the surrounding area; western Gyeongnam, Jeonbuk, and Gyeongbuk province. Based on the gathered data, Gaya potteries used between the 4th century to the 6th century in the eastern area of Jeonnam province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and organized the changes made throughout the period.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Period I is from the early 4th to the early 5th century. Artifacts from this period are found throughout the eastern Jeonnam province, with majority of the area found close to the Seomjin river and the South Sea. Potteries are mostly found in the dwelling sites with some found within tombs. These potteries are mostly artifacts of Ara-Gaya centered in the Haman region and small quantity of artifacts of Geumkwan-Gaya are found around Gurae in Seomjin river. Period II is from the first half of 5th to the mid 5th century. Artifacts appear mostly in the dwelling sites and in some tombs of south-eastern area and south-western area. Types of artifacts from the period I disappeared with the appearance of artifacts of So-Gaya centered in Jinju, Gosung and Snachung region and Changnyoung region. We can predict that the relationship network between the eastern area and Kaya area moved from Ara-Gaya to So-Gaya. Also, the fact that mid 5th century artifacts of the Changnyoung region are found in Goheung, Yeosu and Haenam gives us basis for assuming the exchange of materials made with the powers of the Changnyoung region. Period III is from the latter half of 5th to the early 6th century. Artifacts are found near the Sumjin River and south-eastern area in both dwelling sites and in tombs. Artifacts from the dwelling sites are that of So-Gaya, while artifacts found in tombs are mostly from Dae-Gaya. This is period when Dae-Gaya and So-Gaya expanded it's influence while Goguryeo was pushing southward and Baekjae was weak with the moving of its capital to Woongjin. Period IV is after the mid 6th century. By then Baekjae had established its territory. Artifacts are found in tombs and mountain fortress sites. Gaya potteries tend to be crude as they are made aboriginally with majority of artifacts from Baekjae rather than from Gaya. We can understand the change of relationship network of the Eastern area through the changes seen from the potteries found, which is as follows; Ara-Gaya → So-Gaya and Changnyoung region → So-Gaya and Dae-Gaya → Dae Gaya and Baekjae. Since this thesis only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the potteries, there is limitation of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other associated artifacts. Some interpretations had to be logically jumped for the lack of data gathered, which should be corrected and added after further study on this subject.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사 1
제2절 연구목적 및 방법 5

제2장 전남 동부지역 가야토기 출토유적의 검토 7
제1절 유적의 검토 7
1. 섬진강유역권 7
2. 동부동남권 9
3. 동부서남권 10
제2절 유구에 따른 가야토기의 출토양상 20
1. 생활유적 20
2. 분묘 24
3. 산성 34

제3장 가야토기의 분류와 편년설정 38
제1절 토기의 분류 38
제2절 편년설정 70

제4장 가야토기 출토양상의 변천과 성격 80
제1절 가야토기 출토양상의 변천 80
제2절 가야토기의 출토양상의 성격 93

제5장 결론 101

참고문헌 103
국문초록 107
부록 109

소장기관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22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