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it-style stone burial chambers appeared during the Geumgwan Gaya
저자
안은주
발행연도
2014 
학위수여기관
동아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사항
고고미술사학과 2014. 2 
형태사항
147 p. : 삽도, 도판 ; 26 cm. 
KDC
초록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it-Style Stone Burial Chambers appeared during the Geumgwan Gaya 고고미술사학과 안 은 주 지 도 교 수 박 광 춘 수혈식석곽묘는 가야의 대표적인 매장시설로써 부장품과 함께 가야문화를 복원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초기 수혈식석곽묘를 통해 외래적 또는 내재적 요인으로 판단하였으나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의 과도기에 해당하는 석재충전식목곽묘를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양상으로 보고 외래적 또는 내재적인 요인으로 판단하였으며 수혈식석곽묘와 함께 출현기의 양상으로 파악하여 보고자 하였다. 수혈식석곽묘의 전개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김해와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적인 속성을 통해 형식분류를 하였다. 출토유물을 통해 검증한 결과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적 형태와 유물조합상을 통해 4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은 금관가야의 김해지역에서 대형분보다 중소형분의 석재충전식목곽묘에서 나타나 초기 수혈식석곽묘로의 전환양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배경에는 당시 교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금관가야의 사회양상과 계층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동일한 금관가야문화권인 김해와 부산지역은 출현기의 석재충전식목곽묘와 초기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양상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는데 이는 동일한 문화권 내에서의 새로운 묘제의 도입시기와 교역과 교류의 대상의 차이에 따른 축조집단의 차이로 생각된다. 수혈식석곽묘의 출현 배경에는 당시 해안가에 입지한 유리한 조건에 따른 집단의 성장과 외부와 교류에 따른 외래계 묘제구조의 영향에 따라 석재충전식목곽묘와 초기 수혈식석곽묘가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당시의 많은 목재소비에 따른 중요성과 목곽묘 전통과 관습을 유지하려는 상위 지배층의 권력에 의한 목재사용의 통제가 이루어져 중하위의 피지배계층들은 규제에 따른 해결책으로 묘제에 석재를 점차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목곽묘의 발전에 따라 충전부를 돌로 채우는 석재충전식목곽묘로 바뀌게 되었으며, 점차 석축의 형태로 변화하여 수혈식석곽묘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은 합천 옥전고분군과 고령 지산동고분군과 같은 타 가야지역과 비교하여도 가장 이른 시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의 출현은 가장 이른 출현시기와 전개양상, 출현배경에서 당시 사회배경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어 : 금관가야, 김해지역, 부산지역, 수혈식석곽묘, 석재충전식목곽묘, 축조구조, 출현, 교역, 계층

목차

목 차
I. 머리말 1

II. 연구사 4

Ⅲ. 유적현황 9
1. 대성동고분군 10
2. 안양리고분군 10
3. 양동리고분군 11
4. 예안리고분군 11
5. 윗덕정고분군 12
6. 죽곡리고분군 12
7. 칠산동고분군 13
8. 화정고분군 14
9. 당감동고분군 14
10. 반여동유적 15
11. 복천동고분군 15
12. 생곡동가달고분군 16
13. 연산동고분군 17
14. 오륜대고분군 17
15. 화명동고분군 18

Ⅳ. 수혈식석곽묘 속성 및 형식분류 19
1. 속성 20
2. 형식분류 33
3. 출토유물을 통한 형식 검증 49

Ⅴ. 단계설정 59
1. Ⅰ단계 59
2. Ⅱ단계 61
3. Ⅲ단계 62
4. Ⅳ단계 64

Ⅵ. 금관가야의 수혈식석곽묘 출현과 양상 77
1. 수혈식석곽묘의 전개양상 77
2. 출현기의 특징과 양상 81
3. 수혈식석곽묘의 출현배경 94
4. 타 가야지역과의 비교 108

Ⅶ. 맺음말 114
참고문헌 118
ABSTRACT 124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32)

키워드
  • 금관가야
  • 수혈식석곽묘
  • 석재충전식목곽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