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耶 古墳 殉葬의 比較 硏究
A Comparative Study of Sacrificial Burials in Gaya Tombs
저자
신상백
발행연도
2017 
학위수여기관
경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사항
고고인류학과 고고학전공 2017. 2 
형태사항
217 p. : 삽도 ; 26 cm. 
KDC
초록

순장은 죽은 권력자를 위해 산 사람을 죽여 매장하는 장송의례이다. 순장은 경제력의 과시, 인신희생에 대한 직접적 · 간접적인 강제력을 통해 나타나며 지역집단에서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격차가 심화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야지역에서 순장이 확인되는 고분군은 금관가야의 김해 대성동 고분군, 아라가야의 함안 말이산 고분군, 대가야의 고령 지산동 고분군과 본관동 고분군, 합천 반계제 고분군이다. 
 금관가야의 순장은 3세기 중엽 29호분에서 확인되며 이는 대성동 집단에 계급체계가 심화되고 인신희생 등의 강제력이 강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4세기 전엽부터 중엽까지는 다양한 순장양상이 발생하며 4세기 후엽에는 순장양상이 주피장자를 중심으로 주위에 순장자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정립된다. 순장을 실시하는 계층도 4세기 전엽 최고위 계층만 실시하던 순장이 차상위 계층으로 확대되고 4세기 후엽에는 그 아래 계급까지 순장이 확대된다. 이는 김해지역에서 대외교류를 주도하던 금관가야의 성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최고계층의 순장과 차상위계층의 순장에서 큰 차이점이 발생하지 않아 최고계층이 순장에 대한 통제를 완전하게 이루어내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금관가야의 순장은 5세기를 기준으로 크게 쇠퇴하는데 이는 금관가야세력의 전반적인 쇠퇴로 볼 수 있다.
 아라가야는 5세기 중엽부터 순장이 실시되며 이 시기부터 순장자의 수가 최고조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왕릉급 분묘와 주변 분묘의 규모, 부장유물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아라가야의 왕권의 한계성을 엿볼 수 있다. 6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순장자의 수는 점점 감소하고 최고계층의 순장양상이 차상위계층의 순장양상으로 변화하여 아라가야의 세력의 약화를 보여주며 6세기 대에도 왕릉과 주변 분묘의 차이점이 크게 확인되지 않아 왕권의 한계를 알 수 있다.
 대가야는 5세기 전엽부터 순장이 확인된다. 5세기대에는 비슷한 입지의 부장유물이 비슷한 수장급 분묘가 다수 확인되어 아라가야와 같이 왕권이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5세기 말에 지산동 44호분을 중심으로 왕권이 특정 수장에게 집중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 지방에서 확인되는 수장급 분묘와 고령 지산동의 고분에서 나타나는 순장자의 위계와 수, 분묘의 부장 유물을 통해 볼 때 고령을 위시한 중앙과 지방의 세력차가 상당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가야에서 고아동벽화고분과 연화문전등이 확인되는 것을 통해 볼 때 후기에는 대가야에도 불교가 들어오는 것으로 파악 할 수 있으며, 이 시기 순장이 약화되는 것과 관련하여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본다.

초록(영문)

Sacrificial burial (sunjang) refers to a funeral ritual involving the killing and interment of the living within the tombs of powerful figures. It was a display of economic power, manifested through direct and indirect coercion involving human sacrifice and grew from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ruling and the ruled classes among theregional groups of people. 
 The tomb complexes in the Gaya region in which sacrificial burials were confirmed to have taken place are Geumgwan Gaya’s Daeseong-dong complex in Gimhae, Ara Gaya’s Marisan complex in Haman, and Dae Gaya’s Jisan-dong and Bongwan-dong complexes in Goryeong and its Bangyeje complex in Hapcheon. 
 In Geumgwan Gaya, sacrificial burialswere found in Tomb No. 29 dating back to the middle of the third century probably indicatingthe deepening of hierarchical divisions and strengthening of coercive power to enforce human sacrifices and the like. From the early to the mid-fourth century,various forms of sacrificial burials emerged;in the late fourth century, the sacrificed bodies were placed around that of the main person buried.Among the social classes,only the upper classespracticed sacrificial burial in the early fourth century, but by the late fourth century, the practice was extended to the class below the top ranking one as well. 
 This plainly shows the growth of the Geumgwan Gaya, which led the overseas trade in the Gimhae area. However, since there was no major differenceseen between thesacrificial burials ofthe higher class and those ranking beneath it,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higher classes did not have a monopoly on the practice. Sacrificial burials in Geumgwan Gaya underwent a major decline by the fifth centuryindicating an overall decline of the Geumgwan Gaya as a force in the region. 
 The practice of sacrificial burial in Ara Gaya started from the middle of the fifth century, and from then on,the number of sacrificially buried personsincreased to reach a peak. However, the size of the royal tombs as compared to thesurrounding tombsand the artifacts buried in them do not show any major difference, thus implying the limitations of the royal authority in Ara Gaya. As we approach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there is a gradual reduction seen in the number of sacrificially buried persons, and the sacrificial burial arrangement found in the tombs of the top-ranked tier resembles that of the tombs of the next tier below revealing the weakening of Ara Gaya’s influence. Even in the sixth century, there are no major differences to be noted between the royal tombs and the surrounding tombs, indicating the limitations of royal authority. 
 In Dae Gaya, sacrificial burials were found dating back to the early fifth century. In the fifth century, buried artifacts of similar status were found in tombs of similarly ranked leaders, thus indicating that the royal authority was dispersed as in Ara Gaya. However, toward the end of the fifth century, the royal authority became concentrated in one leader, as can be seen for instance in Tomb No. 44 at Jisan-dong. Moreover, a comparison of the number and the rank of the sacrificed persons along withthe buried artifacts found in the Jisan-dong tombs in Goryeong and those of the tombs of leaders in other areas reveals that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in power between the center at Goryeong and other regions.

목차

제 Ⅰ 장. 머리말

1. 연구사 검토
2. 연구방법 및 범위

제 Ⅱ 장. 가야의 순장검토

1. 금관가야
2. 아라가야
3. 대가야

제 Ⅲ 장. 가야순장의 변천

1. 금관가야
2. 아라가야
3. 대가야

제 Ⅳ 장. 순장을 통해 본 가야의 왕권

1. 순장과 왕권
2. 순장의 발생
3. 금관가야의 순장과 왕권
4. 아라가야의 순장과 왕권
5. 대가야의 순장과 왕권

제 Ⅴ 장. 맺음말

소장기관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222001)

키워드
  • 고고학
  • 가야
  • 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