昌寧 余草里와 咸安 法守里 窯址에서 出土된 4-5世紀 伽倻地域 土器의 自然科學的 分析
A scientific study on pottery excavated from Yeocho-ri and Beopsu-ri Kilns in the 4th-5th century Gaya area
저자
박정혜
발행연도
2011 
학위수여기관
中央大學校 大學院 
학위논문사항
文化財科學科 文化財保存學專攻 2011. 2 
형태사항
250 p. ; 26cm. 
KDC
초록

본 연구에서는 4-5세기 가야지역의 출토 토기편을 대상으로 자연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광물의 조성, 조직, 비짐 등에 의한 광물학적인 해석이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고 광물상의 변화 등을 통하여 소성온도를 추정하여 도질토기의 제작기술과 형성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창녕 여초리 요지 1구역과 함안 법수리 요지 2, 5, 12구역에서 총 40점의 토기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물리적 특성으로 색도측정을 실시하고, 화학적 분석으로 X-선 형광분석, X-선 회절분석,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 광물 조성과 미세구조관찰에는 광학현미경분석, 편광현미경분석, 주사전자현미경분석, 열분석으로 열중량 분석 및 시차열분석으로 지시 광물과 조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여초리 요지는 모두 물라이트가 동정되었지만, 법수리 요지는 적색토기가 주를 이루어 물라이트가 동정되지 않아 여초리 요지의 소성온도가 더 높았다. 또한 여초리 요지의 바탕 질에 장석과 변질된 흑운모들이 보이고 불규칙하게 혼입된 사립질로 고루지 못한 분급을 나타낸다. 반면 법수리 요지는 미립의 점토질이며 석영과 장석이 비짐으로 혼입되어 점토의 수비가 잘 되어진 상태이지만 일부토기는 바탕질의 점토가 열수변질 되지 못하고 광물과 철성분이 재결정을 이루지 못한 상태로 소성온도가 높지 못 했다. 연구 결과를 종합 보면 태토의 수비 상태와 토기의 기형 등의 제작기술은 법수리 요지가 여초리 요지 보다 상당히 앞서며 전업적인 생산체계 갖춘 것으로 보인다. 반면 토기의 소성온도는 여초리 요지가 법수리 요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소성온도는 토기제작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따라서 당시 도질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제작기술과 고온의 소성온도가 요구되는데 법수리 요지의 제작기술과 여초리 요지의 높은 소성온도가 가야지역의 도질토기의 생산기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초록(영문)

In this study, various scientific analyses of the 4th-5th century earthenwares excavated from Gaya area were performed in order to consider the meaning of the mineralogical analyses such as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inerals. Additionally,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the form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by mean of estimation of the firing temperature through the phase changes of minerals on heating. As the objects for this study, 40 earthenware shards excavated from Changnyeong Yeocho-ri kiln 1st group and Haman Beopsu-ri kiln 2th, 5th, and 12th groups have been selected. For determining the major and minor components and their compositions, x-ray fluorescence (XRF), x-ray diffraction (XRD)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er (ICP-MS) were used whil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monitored by chromaticity measurement. Optical microscope, polarizing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were used to observe the fine structures. The thermal analyses such as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were also performed.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nalyses showed that the firing temperatures of Yeocho-ri earthenwares seem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Beopsu-ri since mullite was identified in all of Yeocho-ri shards while it was identified in a few shards from Beopsu-ri which were mostly read earthenwares. Feldspar and denatured biotite were found in the matrix of Yeocho-ri shards. On the other hand, the matrix of Beopsu-ri shards was well elutriated microgranular clay mixed with quartz and feldspar. But the bodies of some shards were not hydro-thermally altered, and minerals and iron were not recrystallized because the firing temperature was not high enough. In conclusion, Beopsu-ri kiln seems to have more precedent manufacturing technology in elutrication of the body and shaping the earthenwares than Yeocho-ri. However, the firing temperature of Yeocho-ri earthenware is higher that of Beopsu-ri,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making earthenwares. Therefore, the experienced production technology of Beopsu-ri and the firing temperature of Yeocho-ri could have influence on producing the ceramic quality earthenware in Gaya area at that time.

목차

Ⅰ. 서론 1
Ⅱ. 연구 지역 및 분석대상 3
1. 연구 지역 3
(1) 창녕 여초리 토기요지 3
(2) 함안 법수리 토기요지 4
2. 분석대상 5
3. 시료에 대한 가시적 특징 6
Ⅲ. 실험방법 10
1. 색도측정 11
2. 주성분분석 및 제게르식 11
3. 미량성분분석 12
4. 열중량시차분석 13
5. X-선 회절분석 13
6. 편광현미경분석 13
7. 광학현미경분석 14
8. 주사전자현미경분석 14
Ⅳ. 실험결과 15
1. 색도측정 15
2. 주성분분석 17
3. 미량성분분석 22
4. 열중량시차분석 34
5. X-선 회절분석 44
6. 편광현미경분석 50
7. 광학현미경분석 68
8. 주사전자현미경분석 77
Ⅴ. 결론 88
Ⅵ. 참고문헌 90
국문초록 93
Abstract 94

소장기관

경주대학교 도서관 (247022),고려대학교 도서관 (211009),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244002),동국대학교 경주도서관 (247011),한성대학교 도서관 (211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