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世紀 山淸·咸陽地域의 土器 樣式 變化
Changes of the pottery style of the Sancheong·Hamyang in the 5th-6th century
저자
박은지
발행연도
2012 
학위수여기관
경남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사항
인문학과 2012. 8 
형태사항
33장 : 삽도 ; 26cm. 
KDC
초록

본 연구는 5-6세기 가야시대 접변지역이었던 산청·함양일대를 고고학적 연구 검토를 통해 당시 시대상황을 복원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산청·함양은 현재 경상남도 서북쪽에 위치해 있고, 남강지류인 경호강이 남북으로 흐르고, 지역 전체가 산지로 둘러 싸여 있어 강 주변을 따라 생활이 용이하다. 북쪽으로 장수, 진안 등의 전남동부지역으로 연결되며, 남쪽으로는 남강지류를 따라 진주를 거쳐 의령, 함안으로 연결되는 교통상의 요충지이다. 특히, 4세기 말~6세기 초에는 삼국의 정치적 변화나 경제적 교류 등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로 접경지역에 위치한 산청·함양지역은 아주 복잡한 상황이 전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뒷받침하듯 발굴된 삼국시대 고분군에서는 在地系土器뿐 아니라 外來系遺物들이 공반되어 출토된다. 여기서 확인되는 外來系遺物은 교류 및 교역으로 유입된 것뿐만 아니라 시기별·지역별에 따른 정치체의 변화에 따른 현상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산청·함양지역에서 발굴 조사된 5-6세기 遺蹟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각 유적에서 출토되는 遺物 특히, 土器를 중심으로 형식 분류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在地系 및 外來系 등의 토기양식 변화양상을 알아보고, 5-6세기 산청·함양지역의 시대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土器가 지니는 시간적·공간적 속성을 추출하여 형식분류를 시도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배열하였다. 그 결과, 土器의 각 기종의 생성·소멸·형태의 변화 등을 크게 5단계로 설정하고, 각 유구별 공반관계 및 주변 유적과 유물의 교차편년을 검토하여 각 단계별로 연대를 비정하였다. Ⅰ단계는 4세기 후반에 해당하되, 加耶土器가 정형화되기 이전의 古式陶質土器 마지막단계에 해당된다. Ⅱ단계는 5세기 초에 해당되며, a와 b로 세분되고 전형적인 加耶土器가 등장하기 시작하는 단계로 아직 古式陶質土器의 요소가 일부 남아 있다. Ⅲ단계는 5세기 중엽으로 加耶土器가 정형화되어 지역색을 나타내는 단계로 小加耶樣式 土器가 주류를 이룬다. Ⅳ단계는 5세기 말엽에 해당되며, 外來系인 大加耶樣式 土器가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는 大加耶 세력의 확장에 의한 것으로 다양한 大加耶樣式의 遺物 및 墓制가 유입되어 그 일색으로 변화되는 단계이다. Ⅴ단계는 6세기 초에 해당되며, 小加耶樣式 土器로 일부 유적에서는 소멸되어 가고 大加耶樣式 土器로 변화하는 단계로 이 지역에서의 小加耶의 영향력이 약해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산청·함양지역에서는 在地系인 小加耶樣式 遺物뿐 아니라 外來系인 大加耶 및 百濟의 遺物이 출토된다. 특히 大加耶樣式 土器는 고령에서 출토되는 것과는 달리 제작기술이 세밀하지 못한 점과 胎土에서 차이점으로 보아 산청지역에서 모방하여 제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遺物이 다량 확인되는 점이 주목된다. 이는 모방하여 제작·생산할 만큼 그 영향력이 확대되었음을 土器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리적 연접관계로 百濟系 遺物이나 그 영향을 받은 土器가 출토됨으로 백제와의 관련성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종합적 검토를 통해 산청·함양지역 유적들의 중심시기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시기별 토기양식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4세기 후반에는 가야지역이 공통된 土器樣式을 가졌던 시기로 산청·함양지역에서도 뚜렷한 정치체가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400년 고구려 남정으로 인해 四國에 큰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중 加耶는 각 정치체에 독특한 土器樣式이 정립되는 상황에서 산청·함양지역은 小加耶樣式이 주를 이룬다. 이후, 大加耶의 세력 확장으로 생초·평촌 등의 북부지역은 5세기 말엽~6세기 초 大加耶樣式遺物이 다량 부장되는 반면, 남부지역에 위치한 명동·중촌 등에서는 小加耶樣式遺物이 지속적으로 부장되는 등 같은 시기에 遺物에서의 공간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초록(영문)

This research tries to restore the periodical situation of the Sancheong·Hamyang area, which was the place of assimilation at the Gaya era in 5th-6th century, through archaeologic study. Sancheong·Hamyang is now currently located at the west-north position of the current Gyeongsangnam-do, with the Gyeong-ho river, a influent of the Nam river, flowing from south to north, and the whole area is surrounded by mountains, making living easy in the area surrounding the river. It is a traffical key point with Eastern Jeonnam, such as Jangsu, Jinan, and so on, to the north and to the south, following the Nam river, through Jinju, is Uiryeong, Haman, and so on. It is estimated, that from the end of 4th century to the early 6th century, a time when the political changes and the economic exchanges of the three states were most active, in the Sancheong·Hamyang region, which was a place where the countries met, the situation would have been very complicated. And to support this estimation, in the tombs of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foreign style artifacts are found with the regional potteries. The foreign artifacts found here is presumed to be not only due to the inflow through exchange or trading, but also due to political changes according to time or region.
 Therefore, we planed to focus our examination to the artifacts of the 5th-6th century, and tried to form classify the artifacts found in the each remains especially focusing on pottery. And based on the result, we found the changing aspects in types of pottery such as regional and foreign pottery, and saw the political tendency of Sancheong·Hamyang area in the 5th to 6th century.
 The result was the following. First, we extracted the time·space element the pottery holds and applied form classification and arranged them through the course of time. And as a result, we set 5 stages through the creation·extinction·change of shape, and so on of the each type of pottery, and by reviewing the yield relations of each remains and the chronology of the remains and artifacts, we were able to set the period of the each stage. I stage is the late 4th century but also the last stage of the style earlystoneware before Gaya pottery was standardized. The II stage was in the early 5th century and it was when the potteries were divided in to a and b and standard Gaya pottery started to appear and still elements of style earlystoneware can be found. The III stage was in the mid 5th century and Gaya pottery was standardized and showed regional color and the Sogaya style pottery was the mainstream. The IV stage was in the end of 5th century and the foreign Daegaya style potteries started to permeate. This wa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Daegaya and it was a stage when Daegaya style artifacts and tombs flowed in and became a single color. Stage V was in the early 6th century and Sogaya style potteries started to die and were changed to Daegaya style potteries and there are proofs showing that the influence of Sogaya was weakening in the region.
 Secondly, in the Sancheong·Hamyang area, foreign artifacts from Daegaya and Baekje were found with the regional Sogaya style artifacts. Especially, Daegaya style potteries gained attention though the fact that they are mostly likely to be a copy, unlike the ones found in Goryeong, showing poor manufacturing skills and different ingredients. The fact that influence were expanded enough to manufacture and produce through coping, can be seen through the potteries. Also, in a regional connection relationship, as Baekje style artifacts and potteries affected by Baekje were excavated, the relation with Baekje could be found.
 Third, through overall study,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enter time of the artifacts in Sancheong·Hamyang area, and though yield relationship, we were able to assume the political trend of each era. The last stage of 4th century was when Gaya region had a common pottery style and no specific polity were found in the Sancheong·Hamyang area. But due to Koguryo in the year 400, big changes were made in the four states and Gaya, in a situation where unique pottery style were being born in each political entity, Sogaya potteries were the main stream in Sancehong·Hamyang area. Afterwards, it is clear that there were spacial differences in the artifacts of the same time through facts such as through expansion of the Daegaya, the northern region such as Sangsho, Pyeongchon, and so on, got under the influence of the Daegaya through late 5th century and early 6th century, while group of Sogaya still existed in southern regions such as Myeong-dong, Jeungchon, and so on.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1. 연구사 검토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Ⅱ. 山淸·咸陽地域의 土器 分析
1. 대상 유적의 검토
2. 형식분류
Ⅲ. 段階設定과 編年
1. 단계설정
2. 편년
Ⅳ. 5~6世紀 山淸·咸陽地域의 土器 樣式 變化
1. 外來系遺物 流入樣相
2. 5~6世紀 山淸·咸陽地域의 土器 樣式 變化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 109

소장기관

동아대학교 도서관 (221008),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221016),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224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