洛東江流域의 古式陶質土器 硏究
An old rite stoneware study of Nakdong-river valley
저자
박상언
발행연도
2007 
학위수여기관
경남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사항
사학과 한국사전공 2007. 2 
형태사항
iii, 143 p. ; 26cm 
KDC
초록

본 논문은 4世紀代 土器를 일컫는 古式陶質土器를 再考함에 목적이 있다. 고식도질토기는 土器樣式에 있어 낙동강을 중심으로 신라양식과 가야양식으로 구분되기 전까지의 도질토기를 말하며 4세기대가 그 중심연대이다. 4세기대 토기는 공통양식설을 중심으로 編年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발굴조사의 증가로 인해 다량의 유물이 소개되면서 현재는 각 지역마다의 지역적인 특징이 있다는 地域色의 연구로 시각이 돌려지고 있다.
 4세기 토기를 기종별로 형식을 설정하고 유물의 공반관계로서의 단계를 설정해 보았다. 그 결과 4세기대는 모두 4단계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각 단계별로 유물의 분포상을 알 수 있었다. Ⅰ단계는 3세기대의 後期瓦質土器의 정면수법이 토기에 그대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공반양상에 있어서도 동일기형의 토기가 와질소성과 도질소성이 함께 확인된다. Ⅱ단계는 와질토기가 모두 소멸되며, 고배의 대각에 透孔이 뚫린다. Ⅲ단계는 有蓋式高杯의 등장을 들 수 있으며, 토기의 출토양도 前단계에 비해 월등히 늘어난다. Ⅳ단계는 고배에 있어서 5세기이후에 나타나는 각 지역적인 특성의 透窓이 뚫린다. 筒形高杯를 중심으로 하는 함안토기는 함안지역에서 Ⅰ단계부터 부장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주변지역은 Ⅱ단계가 되어서야 비로소 무덤에 부장된다. 또한 Ⅱ단계까지는 함안지역에서 생산된 토기가 각 지역으로 분배되었으며, Ⅲ단계에 들어서면서 각 지역에서 함안토기를 모방하여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생활유적에서는 토기의 생산과 관련된 유구와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함안지역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창녕에서도 확인이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거리에 관계없이 Ⅲ단계부터는 각지에서 자체 생산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
 앞에서 살핀 결과를 토대로 政治體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광범위한 분포권을 보이는 통형고배문화권은 정치체의 영역이 아닌 낙동강과 남강수계를 이용한 토기문화의 확산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江이라는 자연적인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원거리까지 토기문화가 확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4세기대 토기는 外切口緣高杯文化圈과 筒形高杯文化圈으로 大別되어 왔다. 하지만 사천, 진주, 하동, 함양을 경계로 또 하나의 八字형고배 문화권이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八字형고배는 주로 생활유적에서 확인되었으나 최근 하동의 무덤유적에서도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4세기대의 地域色이 보이는 하나의 문화권으로 인정될 수 있다.
 高杯를 중심으로 살펴본 지역색은 外切口緣高杯를 중심으로 한 부산 · 김해지역, 筒形高杯를 중심으로 하는 함안지역, 八字形高杯를 중심으로 하는 경남서부지역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초록(영문)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ld-fashioned earthenware which is called 'Gosikdojiltogi' in the 4th century. As for the pattern, this is earthenware at the time before the styles of Shilla and Gaya were formed separately near Nakdong river around the 4th century. In time, earthenware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Common Style Theory' chronologically; however,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relics were discovered, now the study focus is mov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revealing the unique features of each area due to the active excavation.
 Thus, the pattern of the 4th century earthenwar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ivided into four level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s a result, the 4th century earthenware was divided into four levels, each of which shows the distributional features of artifacts. The 1st level featured the 'even surface technique' of the 'later term tile earthenware' in the 3rd century, and as for the correlation, the same sort of earthenware had both tile and earthenware plasticity. In the second level, tile earthenware all disappeared, and the thin-vessel legs(高杯臺脚) had holes through them. In the 3rd level, then-vessels with lids appeared, and a greater number of artifacts were discovered than the former level. The 4th level featured the opening(透窓), which w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 in the late 5th century. Haman earthenware, whose main feature was the tube type thin vessel(筒形高杯), started to be buried from the 1st level around the Haman area, while from the 2nd level in the neighborhood. In the 2nd level, the vessels produced from Haman area started to be distributed to various regions, and in the 3rd level, many regions imitated the style and made vessels themselves. In the resident area remains, including Changnyeong near Haman, artifact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vessels were excava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egardless of the distance, each area produced vessels for themselves from the 3rd level.
 Examining the correlation with the governing body in tim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clarified that the tube type thin vessel culture meant the spread of the vessel culture through Nakdong River and Nam River watercourses, not under the control of the governing body. By means of rivers, the natural means of travel, the earthenware culture was spread over the long-distance areas.
 In the 4th century, the curved-opening thin vessel(外切口緣高杯) culture and the tube type thin vessel were distinguished to each other. However, around such areas as Sacheon, Jinju, Hadong, and Hamyang, another culture of V-shaped thin vessels might have been formed. Although this V-shaped thin vessel culture was mainly found in resident areas, recently, some were found in the tomb remains, which became the basis of the thought that this also can be a regional feature of the 4th century.
 The regional features centering on the thin-vessel culture can be divided into several parts according to the area: Busan and Kimhae as for the curved-opening thin vessel culture, Haman as for the tube type thin vessel culture, and Western part of Gyeongnam as for the V-shaped thin vessel culture.

목차

국문요약
Ⅱ. 硏究史的 檢討
Ⅲ. 型式分類와 編年
1. 型式分類
2. 段階設定
3. 年代
Ⅳ. 洛東江流域의 土器文化 檢討
1. 咸安土器의 分布와 擴散
2. 4世紀 土器의 共通性과 多樣性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소장기관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