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 횡혈식석실의 성립과 전개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in Gaya
저자
김준식
발행연도
2014 
학위수여기관
경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사항
고고인류학과 2014. 2 
형태사항
iv, 77 p. : 삽도 ; 27 cm. 
KDC
초록

6세기로 접어들면서 가야지역에서는 전통적 묘제인 수혈식석곽을 대신하여 횡혈식석실이라는 신식 묘제가 도입되어 각 지역 및 고분군별로 다양하게 변화한다. 전체적인 분포 양상으로 본 가야 횡혈식석실은 남강을 기준으로 그 주변지역과 남강 이북의 고령, 남강 이남의 고성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게 된다. 가야 횡혈식석실은 현실 길이와 평면 형태, 연도 위치에 의해 총 8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 ⅠAa유형∼ⅡBb유형 석실은 가야 멸망 이전에 해당하고, 나머지 ⅡCb유형∼ⅡDb유형 석실은 가야 멸망 이후에 축조된 것으로 상정하였다. 가야 횡혈식석실의 축조 연대는 기왕의 가야 고분 편년에 의해 ⅠA유형(6세기 초엽∼전엽), ⅠB유형(6세기 전엽∼중엽), ⅠC유형(6세기 중엽), ⅡB유형(가야 멸망 직전)등 총 4단계로 나눌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면 형태가 점점 세장방형에서 방형으로 변화되어 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6세기 가야 사회를 조명해 본 결과, 다음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첫 째, 가야 횡혈식석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장방형→장방형→방형으로의 일반적인 평면 형태의 변화를 인정할 수 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세부적인 구조의 차이는 계보 및 성립 과정, 그리고 지역 특성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둘 째, 가야 횡혈식석실은 아라가야와 남강 주변의 지역 수장층을 중심으로 도입되어, 이후 고성 중심의 소가야권역과 그 외 가야 전 지역으로 확산되고, 고령 중심의 대가야권역은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횡혈식석실이 도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소가야와 대가야는 중심 세력에 의한 독자적인 석실을 구축하였다. 아울러 옥전M11호분이나 경산리1호분, 원당1호분, 중촌리1호분 석실의 성립은 당시 복잡했던 가야 정세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섬진강유역 공방에서 백제에게 밀린 대가야 입장에서는 지역 수장층을 활용한 대외 교통로 확보의 중요성을 엿볼 수 있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넷 째, 6세기 전엽∼중엽에 이르게 되면, 가야지역은 각 연맹체 중심 세력을 바탕으로 밀집된 권역을 나타내며, 이러한 점은 각 연맹체 내 최고 수장층 사이에 동일한 유형의 횡혈식석실을 점차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아라가야는 6세기 전엽 이후로 다양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결국 가야 사회에서 별반 주도적인 활동을 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달리 소가야와 대가야는 권역 내에서 동일한 묘⋅장제의 공유가 이루어졌는데, 우선 소가야는 고성 중심으로 결속력을 강화하여 대외 교류 활동을 통해 독자적인 횡혈식석실을 구축하는 등의 노력을 펼친 것으로 파악된다. 대가야는 섬진강유역 사수에 실패한 이후 신라-백제 사이의 복잡한 관계에 놓였으나 6세기 중엽에 백제 중앙의 석실을 도입하여 고령, 합천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룬 것으로 파악된다. 즉 남강 상류역인 남원지역을 권역 내에 유지하고, 새로이 남강 중상류역까지 진출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다섯 째, 가야 멸망 후 신라는 대가야 중심인 고령지역을 중심으로 기존 집단의 해체 및 이주 정책을 구상하여 재편을 시도하였고, 실제로 이러한 작업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6세기 가야의 입장에서 본다면, 횡혈식석실은 신식 묘제로 볼 수 있고, 이러한 석실의 유형과 그에 수반되는 장제의 분석을 통해 그 분포 양상과 수용 과정, 전개 양상 등을 당시 가야 사회의 역사적 배경에 대입한 지역적 관점의 해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구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3
3. 연구 범위 및 방법 8

Ⅱ. 유형 설정 및 편년 11
1. 유형 설정 11
2. 편년 17

Ⅲ. 분포 양상 및 성립 과정 28
1. 지역별 분포 양상 및 분포권 설정 28
2. 계보 및 성립 과정 49

Ⅳ. 횡혈식석실의 성립과 전개 양상으로 본 가야 사회 65
1. 도입기 횡혈식석실로 본 가야 사회 65
2. 소가야식석실 분포의 역사적 의의 77
3. 대가야식석실 분포의 역사적 의의 94

Ⅴ. 맺음말 105

참고문헌 109

116

소장기관

경상대학교 도서관 (248003)

키워드
  • 가야
  • 횡혈식석실
  • 성립
  •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