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야권 고분 출토 무장의 유형과 전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Development of Arms Excavated from Daegaya Tumuli
저자
김승신
발행연도
2016 
학위수여기관
경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사항
사학과 고고학 2016. 8 
형태사항
vi, 189p. : 삽도, 지도 ; 26cm 
KDC
999.83 
초록

본고에서는 고령 지산동집단을 중심으로 하는 대가야권 중심세력과 직접지배권역인 황강상류지역, 경호강유역에 위치한 고분군, 직접교류권역으로 판단되는 운봉・장수지역 집단 내 고분군에서 확인되는 무장양상에 대하 검토해보았다. 각 고분군에서 출토된 무기 및 무장양상은 지역집단 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먼저 대가야권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는 공격용무기인 대도, 철모, 철촉(궁시)를 대상으로 형식분류 및 단계설정을 시도하였다.
 대도는 환두부의 유무에 따라 목병도 및 환두도로 나눈 후 목병도는 全長, 칼날턱형태, 손잡이고정방법 등으로 분류를 시도하였으며 環頭刀는 환두부의 장식유무 및 환두부 제작방법 등으로 분류하였다. 위 속성을 통한 분류결과 모두 14가지 형식으로 세분이 가능하였다. 철모는 전체길이를 기준으로 크게 2가지로 대분류 후 길이가 짧은 短身철모만을 대상으로 분류를 실시하였다. 철모를 분류하는 세부기준은 모신단면형태, 공부끝부분형태, 관부유무, 銎部단면형태 등으로 분류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가야권 고분에서는 모두 9개의 형식이 확인되었다. 철촉은 촉두의 평면형태 및 폭에 주목하여 蛇頭형, 柳葉형, 刀子형의 3가지 형식 철촉으로 대분류하였으며, 각 형식별로 鏃身의 길이, 逆刺의 유무 등을 통해 분류를 시도한 결과 18개 형식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위 분류안을 종합한 결과 공격용무기는 모두 4단계에 걸쳐 형식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격용무기의 형식분류 및 단계설정 등 무기의 변천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대가야권 지역집단에서 나타나는 무기의 변화양상과 단일 고분 내 부장되는 무장을 종합하여 무장의 유형을 설정하고 지역집단 내 무장의 변화양상을 검토하였다.
 무장의 유형으로는 크게 馬具의 출토 유무를 기준으로 기병무장 및 보병무장으로 대분류하였으며 기병무장은 장식마구, 馬甲, 武具 등의 유무를 기준으로 A~D유형으로 세분하였다. 보병무장은 무구, 무기 소유의 차이를 통해 E~F유형으로 세분하였다. 
 위 분류기준을 통해 검토한 결과 대가야 및 다라국의 중심지인 지산동집단, 옥전집단의 무장양상과 대가야권 주변집단과는 명확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모두 3단계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1단계는 대가야권 내 처음으로 무장이 채용되기 시작하는 단계로 옥전집단에서 처음 확인된다. 옥전집단에서는 장식기병무장(A1, A2유형) 및 중장기병(B1유형), 경장기병(D유형)이 돌발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김해-부산지역에서 먼저 채용되었던 기병의 제 유형들이 대가야권 제 지역 가운데 옥전지역으로 가장 먼저 이입되었던 것을 보여준다. 
 2단계는 대가야권 중심집단을 중심으로 기병 및 보병무장이 발전하는 시기이다. 옥전집단에서 먼저 채용되기 시작한 기병무장은 대가야권 내 중심집단부터 확산되기 시작하며, 보병무장 역시 일정한 형식을 갖추기 시작한다. 대가야권 최고지배자를 중심으로 장식무장 및 중장기병무장(A~B유형)이 확인되며, 대형목곽묘 및 석곽묘를 중심으로 경장기병무장이 이전 단계에 비해 폭넓게 확인되고 있다. 또한 중소형석곽묘를 중심으로 철모가 1점씩 매납되고 있어 보병의 주 무장이 대도보다 철모를 중심으로 한 무장을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장식기병 및 중장기병 무장은 최고지배자급의 위신재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실전에는 상대적으로 기동력이 뛰어난 경기병 일부와 철모 등을 중심으로 한 보병 편재의 무장이 2단계의 대가야권 중심지역 편재로 추정된다.
 3단계는 대가야권 중심지역내 유행하던 기병무장 가운데 장식무장 및 경기병 무장을 중심으로 대가야의 직접지배영역인 황강상류지역, 경호강 중상류지역으로 확산되는 시기이다. 대가야권 중심지역은 2단계와 마찬가지로 고총고분 및 장식무장을 갖출 뿐 경기병 및 철모를 중심으로 한 편제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왔던 것으로 보이는데 비해 주변지역은 조금 다른 양상이 간취된다. 
 대가야의 직접지배영역으로 판단되는 황강 상류지역의 경우 지배집단인 반계제고분군 내 최고지배자 무덤인 반계제 가A호분만 장식무장을 할 뿐 대부분 석곽묘에서는 구형식 철모를 중심으로 한 무장을 갖추는 양상을 보인다. 위와 같은 모습은 대가야권 중심집단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지역집단의 경우 [지배집단-장식기병무장+피지배집단-철모 위주 보병무장]의 기본적인 편제를 갖추고 있되 철모의 제 형식은 지산동 및 옥전집단에서 확인되는 신형식의 철모가 빠르게 보급되지 못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경호강 상류 생초-평촌리집단 및 백천리집단의 최고지배자급 고분(생초 M13호분)을 중심으로 대가야 중심집단에서 확인되는 화려한 장식기병무장(A2유형)이 확인된다. 이에 비해 하위분묘에서 확인되는 무장양상은 철모보다는 대도 위주의 무장이 일부만 확인되는 등 황강지역 집단에서 확인되는 무장보다 다소 소략한 무장만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경호강 상류지역에서 확인되는 무장은 도자형철촉을 제외하면 중심집단에서 사용하는 신형식의 무기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등 신형식의 무기의 도입이 계층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대가야와 직접교류를 하였던 집단으로 판단되는 월산리 및 두락리집단에서 확인되는 무장 가운데 내만타원형판비 등 마구류에서 일부 대가야적 요소가 보이나 무기 등에서 대가야권 중심집단에서 확인되는 무기가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고분 내 백제계유물(금동신발, 계수호)등이 공반되고 있어 대가야의 무장 편제를 직접적으로 받아들이기 보다 백제와 대가야 사이의 일정한 점이지대로서의 역할을 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초록(영문)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arms found in tumuli of the central force of Daegaya led by Goryeong Jisandong group, the upstream of Hwanggang River which was under its direct supremacy, tumuli in Gyeonghogang River basin, and tumuli in Unbong and Jangsu territories, which were areas of direct interchange. Characteristics of weapons and arms excavated from tumuli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s. First of all, offensive weapons thought to be commonly used in Daegaya territories include long swords, helmets, and bows and arrows. Their forms were classified with the steps of development examined. 
 Long swords were classified to swords with a wood handle and swords with a ring pommel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a ring pommel section. Swords with a wood handle were then divided to the total length, governmental system, handle fixation methods, etc. Swords with a ring pommel wer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decorations, ways of ring pommel production methods, etc. As a result of examining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swords were classified to 14 forms in total. Helmet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total length, and then short helmets were specifically classified: Helmets were classified specifically depending on the spear body sections, battering edges, joints between the sword and hilt, battering sections, etc. As a result, 9 forms were found in tumuli of Daegaya region. As for bows and arrows, with the focus on the plane shape and width of arrowheads, bows and arrows were classified to three basic forms: snake-head form, leaf form, and sword form. Specifically, each form was divided further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arrow body, hook-shaped section, etc. As a result, 18 sub-categories were foun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bove, it turned out that offensive weapons involved 4 steps of formative changes. 
 Based on the form classification of offensive weapons and steps of formative changes in weapons,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weapons found in Daegaya region and arms used in different tumuli were examined to specify the types of arms and changes of arms in each region.
 As for types of arms, arms were classified to cavalry arms and infantry arms depending on whether horse gears were excavated along with them. Cavalry arms were classified to Types A to D depending on whether there were decorative harness, bards, and arms. infantry arms were classified to types E to F depending on whether there were arms and weapon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bove, it there were distinctive differences among Daegaya, Jisandong group which was the center of Nation Dara, Okjeon group, and other groups around Daegaya in terms of arms characteristics. Basically, there were 3 steps: 
 In step 1, arms started to be adopted in the region of Daegaya, and Okjeon group was the first. In the territory of Okjeon group, decorative cavalry arms (types A1 and A2), heavy cavalry (type B1), and light cavalry (type D) have been found unexpectedly. The types of cavalry recruited first in the regions of Gimhae and Busan show that these types were introduced in Okjeon region earlier than other territories of Daegaya. 
 Step 2 is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cavalry and infantry arms mainly by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region. Cavalry arms that were first introduced in Okjeon group started to be spread from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with infantry arms too establishing its own formation. It was found that decorative harness and heavy cavalry arms (types A and B) were used mainly by supreme rulers in Daegaya region, and that light cavalry arms, especially in large scale wood-lined tombs 및 stone-lined tombs, were more widely used than in the previous step. One helmet was found in each of the small and medium sized stone-lined tombs, which indicates that helmets were more common infantry arms than long swords. Hence, it is highly probably that decorative cavalry and heavy cavalry arms were used for the dignity of supreme rulers while in actual battles, infantry arms such as some kinds of light cavalry and helmets, which were of superior mobility, were concentrated over Daegaya region in step 2.
 In step 3, the decorative harness and light cavalry arms popular in the central area of Daegaya were spread to the upstream of Hwanggang River which was under the direct control of Daegaya and the middle/upstream of Gyeonghogang River. As in step 2, the central area of Daegaya remained focused on light cavalry and helmets although there were some old tomb tumuli and decorative harness as well while the surrounding areas showed somewhat different conditions.
 In the upstream of Hwanggang River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under the direct control of Daegaya, only Bangyeje type A, which was the tomb of a supreme ruler among Bangyeje tumuli, the ruling class, had decorative harness while most of the stone-lined tombs had old-type helmets as the main arms. This indicates that local groups located comparatively near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were equipped with the basic formation of [the ruling class - decorative cavalry arms + the ruled class - helmets-centered infantry arms], but the new form of helmets found in Jisandong and Okjeon areas had not been rapidly distributed. 
 It turned out that the supreme ruler class tumuli (Saengcho No. M13) of Saengcho-Pyeongchonri group and Baekcheonri group in the upstream of Gyeonghogang River used splendid decorative cavalry arms (A2 type) common among the central class of Daegaya. In contrast, long swords rather than helmets were dominant among subordinate tombs, which indicates the arms in this area were somewhat insignificant compared to those in Hwanggang River region. Among arms found in the upstream of Gyeonghogang River, new forms of weapons used by the central class were hardly found except knife-shaped bows and arrows, which indicates that there were distinctive differences among classes when it comes to the introduction of new forms of weapons. 
 Among arms found in Wolsanri and Durakri groups which are thought to have maintained a direct interchange with Daegaya, some elements of Daegaya were found in arms including incurved-oval plate bits while no weapons of the central class of Daegaya was found. In addition, Baekjae type remains (cold-copper shoes, gyesoho) were also found in the tumuli, which shows the high probability that this region played a role as a transitional zone between Baekje and Daegaya rather than adopting the formation of Daegaya arms.

목차

Ⅰ. 序 論
Ⅱ. 관련 遺蹟과 遺物
Ⅲ. 武器의 形式分類와 編年
1. 鐵鏃
2. 鐵矛
3. 大刀
4. 綜合編年
Ⅳ. 武裝의 類型과 展開
1. 武裝의 類型
2. 武裝의 展開
3. 大加耶 武裝의 變化樣相 檢討
Ⅴ. 結 論
참고문헌 103

소장기관

광주대학교 도서관 (224003),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244006),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211017),대전대학교 도서관 (225002),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20),서원대학교 도서관 (243003),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341054)

키워드
  • 대가야
  • 무장
  • 대도
  • 철모
  • 철촉
  • 중심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