咸安地力 出土 高杯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ancient high-bowl(“Kobae”in korean) having been excavated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저자
강병훈
발행연도
1995 
학위수여기관
檀國大學校 大學院 
학위논문사항
도예학과 도예전공 1995. 2 
형태사항
174 p. ; 26cm 
KDC
초록

신석기시대의 개시와 함께 발달하기 시작한 토기문화는 그 質과 形態에 따라서 그 기능과 용도가 각각 다르게 전개되어 왔다. 따라서 어느 시대나 어느 지역에서건 그 나름대로 생활정서와 지역 특수성이 베어있기 마련이며 그 특징에 따라서 형태와 문양이 각각 독특하게 나타나게 된다. 우리나라 삼국시대의 토기중에서도 각 지역마다 그 특성이 다르다. 가야의 한 왕국인 함안지방의 토기에도 그 당시의 정치, 경제, 종교, 예술 등이 사회의 일반적인 배경과 함께 문화의 양식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함안지방의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중에서 '고배'라는 특수한 기종의 경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이 고배는 그 시대의 신앙과 문화를 대변하는 하나의 상징물로서 취급되기도 한다. 이러한 고배의 형태 고찰을 통해서 당시의 조형활동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으며 또한 내재된 상징성을 통해서 그 시대의 내면적 정신세계까지도 조명해 볼 수 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함안지방 고배의 형태고찰 및 제작기법 문양과 그의 상징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본론 제1장에서는 고배의 개념 및 그 유래에 대하여 살펴 보았고, 제2장에서는 함안지방의 역사 지리적 환경과 함안지방에서 출토되고 있는 고배의 형태를 각 시기별로 구분하고 대각에 뚫어진 투각의 형태별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함안출토 고배의 제작 기법 및 문양이 갖는 상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이 함안지방 고배가 갖는 그 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적 환경이나 종교적 배경에 따른 형태의 변천 과정을 시대의 변천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함안지방 고배가 갖는 지역적 특수성과 생활정서 그리고 당시인들의 미적 의식활동 등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아울러 함안지방의 유적 발굴조사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함안지방의 문화양식을 자세히 관찰 할 수 있었다. 특히 토기는 그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어서 그 시대의 생활상과 미의식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요지의 발견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당시 토기의 제작기법, 소성방법 등 함안지방 토기에 관계된 많은 궁금증을 해결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초록(영문)

The culture of the earthenwares which have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beginning of the neolithic era has been manifested differently one another depending on its quality and its shape. Accordingly, at any times or in any area the living emotions and local colors of the region are supposed to be soaked in and in accordance with its characteristics the shape and design have its own features for each Among earthenwares in the Ancient Three Counties, the characteristics in each reg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he earthenwares having been excavated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which had been Gaya Kingdom, the policy, economy, religion, arts and its cultural mode at that times along with socially general background have been showed variously. Especially, the ancient high-bowl, named "Kobae" in Korean language, among the earthenwares having been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ds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not only have quite a many quantity, but also they have been treated as a symbol representing the belief and culture of those days. Throughout the studios on the shapes of the ancient high-bowls("Kobae"), we can not only recognize the formative activties and standard of living at that times, but also illuminate the inner mental world through the inhered symbolism. Accordingly, in this study I inquired into the shapes of the ancient high-bowls having been excavated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and investigated the techniques for producing, designs and its symbolism. In chapter one of this study, I inquired into the conception and derivation about the ancient high-bowls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in chapter two, I divided up the shapes of the ancient high-bowls having been excavated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by ages, divided up the ancient high-bowls by shape of angle square being bored on the opposite angle and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in chapter three, I inquired into the symbolism being existed in the techniques and designs of the ancient high-bowls having been excavated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As mentioned above, I inquired into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hapes at that times depending on the policy, social environments, economy and religional background which the ancient high-bowls, "Kobae" shaving been excavated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only possess. As result of that, I could anologize the local characteristics, living emotion which "Kobae"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only possess and esthetic conscious activities of contemporaries at that time. In addition to that, I participated in the excavation work of the remains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and consequently I could observe closely the style of culture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Especially, in case of earthenwares its shape has been preserved well, so I could estimate the living style and the esthetic sense of those days First of all, now that the discovery of the pottery has established preferentially, it is considered that such many questions as techniques of producing and burning the earthenwares at that times concerned with the earthenwares haying been excavated in Haman and its neighboring districts would be settled remarkably to some degree.

목차

國文要約 = ⅰ
목차 = ⅲ
序論 = 1
1. 硏究의 目的 = 1
2. 硏究方法 및 範圍 = 2
本論 = 4
1. 高杯의 槪念 및 由來 = 4
1) 高杯의 槪念 = 4
2) 고배의 유래 = 5
2. 함안지방 출토 고배의 형태 고찰 = 7
1) 함안지방의 역사 지리적 고찰 = 7
2) 함안지방 고배의 형태 = 8
3. 함안 출토 고배의 제작기법 및 문양 = 31
1) 제작기법 = 31
2) 문양 = 39
結論 = 43
참고문헌 = 45
작도.사진 그림 = 47
ABSTRACT = 83

소장기관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244006),서강대학교 도서관 (211029),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학술정보원 (242009),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341054),한서대학교 도서관 (244015),한성대학교 도서관 (211061)

키워드
  • 함안지역
  • 출토
  • 고배
  • 도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