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 연구
A Study of the Traffic Route Baekjeon and Gaya on the Jeollabuk-do Region
저자
곽장근
발행연도
2011 
발행처
한국고대사학회 
언어
Korean 
학술지명
韓國古代史硏究 
권호사항
Vol.63No.-[2011]  
수록면
81.0~114.0 
KDC
911.0 
초록

전북지역에서 축적된 고고학 자료를 내륙 교통로의 조직망에 대입시켜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성기 백제의 간선 교통로가 통과하는 섬진강 유역은 마한의 지배층 무덤인 말무덤을 제외하면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나 가야계 최고급 위세품이 발견되지 않았다. 일제강점기부터 지명의 음상사와 단편적인 고고학 자료 만을 근거로 기문이 있었던 곳으로 비정되었지만 가야계 소국이 없는 것으로 보았다. 백제의 웅진 천도와 그에 따른 백제의 정치적인 혼란기를 틈타 장수 및 운봉지역의 가야가 그 주변지역으로 진출하였다. 장수지역의 가야는 금남호남정맥을 넘어 섬진강 상·중류지역과 진안고원의 금산·진안권을, 운봉지역의 가야는 백두대간을 넘어 섬진강 하류지역을 한 동안 가야의 영향권에 편입시켰다. 장수지역의 가야에 의해 강력한 방어체계가 구축됨으로써 한성기 백제의 간선 교통로가 차단되었고, 결국 웅진기 백제의 간선 교통로가 전주를 거쳐 호남정맥의 슬치를 넘는 루트로 재편성되었다. 동진강 하구의 가야포를 가야의 거점포구로 비정하였다. 대가야를 비롯한 영남 내륙지역과 전북 동부지역에 기반을 둔 가야계 소국들이 남제 등 중국과 교류할 때 주로 이용했던 국제교역항으로 추론하였다.

초록(영문)

In this paper, the changing processes of the road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studied by substituting the accumulated archeological data into the inland traffic network of the time. In the basin of the Seomjin-gang (river) where the main lines of Hanseong Baekje passed through, there was no middle or large sizes of tombs, nor the highest grade of prestige goods of the Gaya kingdom excavated except some horse tombs which belonged to the Mahan's ruling class. Since Japanese colonial rule, researchers have estimated that there was Gimun based on the homonyms of place names and fragmental archeological data, but they concluded that there was no Gayarelated state there. Baekje's transfer of its capital toWungjin and the following political confusion permitted Jangsu region Gaya and Wunbong region Gaya to advance towards Baekje area. Jangsu region Gaya crossed Geumnam-Honam Jeongmaek and occupied the upper and middle Seomjin-gang areas and Geumsan and Jinan ranges of the Jinan Height. AndWunbong region Gaya crossed Baekdudaegan and took over the lower Seomjin-gang area for some time. Because of the strong defense system constructed by Jangsu region Gaya, the main roads of Hanseong Baekje were blocked. Thus, a new main road system was reorganized centering around Gongju. Gaya port in the Dongjin-gang basin is estimated to have been the central one of Gaya. The port is estimated to have been functioned as an international port when the small states of Gaya founded in Youngnam inland area and the eastern area of Jeollabuk-do traded with foreign nations in China.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한성기 간선 교통로와 가야의 발전상
Ⅲ. 웅진기 간선 교통로의 재편성과 의미
Ⅳ. 동진강 하구의 가야포와 내륙 교통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 교통로
  • 백제
  • 가야
  • 기문
  • 금남호남정맥
  • 백두대간
  • 섬진강
  • 동진강
  • Traffic Route
  • Baekje
  • Gaya
  • Gimun
  • Geumnam-Honam Jeongmaek
  • Baekdudaegan
  • Seomjin-gang
  • Dongjin-g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