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耶 竪穴式石槨墓 硏究
저자
최경규
발행연도
2014 
학위수여기관
동아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사항
형태사항
52p. : 삽도 ; 26cm 
KDC
911.03 4 
초록

본 논문은 가야 수혈식석곽묘를 대상으로 類型化 분석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고고학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가야사회의 발전을 고찰한 논문이다. 문헌사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가야사회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고고학적 연구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기존의 가야사회 해명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는 유물 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가야의 주묘제로 장기간 사용되어 온 수혈식석곽묘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可動性이 활발한 유물에 비해 묘제는 지역 고유의 문화적 내용을 내포하고 있음으로 고대 가야사회의 특징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야 각 정치체의 중심지에서 조사된 수혈식석곽묘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가야사회의 발전을 고찰하였다. 먼저 가야 각 정치체에서 수혈식석곽묘의 출현과 전개를 검토하고 이를 종합하여 Ⅰ〜Ⅳ期로 分期를 설정하여 시간축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가야 각 정치체의 수혈식석곽묘에 유형화 개념을 적용하여 공통된 속성을 유출하고 객관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분기설정과 유형화 분석을 바탕으로 가야 각 정치체에서 수혈식석곽묘의 수용배경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가장 먼저 초기국가(Early State) 단계에 진입한 금관가야는 4세기 전반대의 변화된 사회적 정세를 바탕으로 사회계급이 명백한 계층사회를 유지하기 위해 지배자급에서 목곽묘의 축조를 규제함으로써 중위위계에서 우선적으로 수혈식석곽묘가 축조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아라가야와 대가야, 소가야에서도 당시의 사회적 정세와 지리적인 이점 등을 배경으로 시기적인 차를 두고 수혈식석곽묘가 초현하는데, 아라가야와 소가야의 경우 지배자급보다 그 하위위계에서 수혈식석곽묘가 우선 수용되며, 지배자급에 수혈식석곽묘가 수용되는 것은 정치체의 내적 성장에 대한 외적 표현으로써 대형 봉토고분의 축조가 활발해지는 것을 계기로 한다. 다음으로 수혈식석곽묘의 축조과정에서의 매장의례를 복원해 각 유형과 매장의례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묘제에 투영된 계층적 요소를 검토하였다. 상위유형은 하위유형보다 복잡한 매장의례가 행해졌으며, 유형별로 규모와 부장품조성을 통해 棺槨의 구조(유형의 차별화)에 계층성이 반영되어 있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유형에 반영된 계층성의 검증결과, 가야 수혈식석곽묘 사회는 최소 4개 이상의 계층이 존재하고 있었으며 각 가야간 유형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상위-중위-하위의 成層化 현상을 상정해 볼 수 있었다. 끝으로 가야 수혈식석곽묘가 전 계층에 사용된 Ⅲ기를 중심으로 부장품배치 등을 분석한 결과, 상위계층은 대등정치체(Peer Polity)간 상호 우월적 경쟁과 독자성을 발현하고 중위계층은 상호교류를 통한 사회기층 발전을 주도하는 등 重層的 네트워크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형과 문헌사료의 대비를 통해 목곽묘사회에서 수혈식석곽묘사회로의 전환에 있어서 成層化 현상이 나타나며 상위계층에서는 身分分化가 뚜렷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고대(성숙)국가 단계의 특징을 보이는 반면, 정치적 승계의 세습(旱岐兒, 君兒) 현상과 非피라미드상(다이아몬드형)의 불안정한 계층구조도 함께 나타나고 있어 가야 수혈식석곽묘 사회는 고대(성숙)국가로의 전환기적 사회로 파악해 보았다. 그간 가야사회를 고대(성숙)국가인지에 관한 二分法的인 구분에만 관심을 가진 연구경향을 탈피하여 가야사회가 고대(성숙)국가로 이행하는 과정적인 특징이 무엇인지를 수혈식석곽묘라는 고고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가야 수혈식석곽묘 사회의 특징은 한반도 (성숙)국가형성과정의 중간적 모델로 제시해 볼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1

Ⅱ. 연구사 10

Ⅲ. 가야 수혈식석곽묘의 개념 및 출현과 전개 27
1. 수혈식석곽묘의 개념 27
가. 목곽묘의 구조적 복원과 관곽 개념의 채용 30
나. 수혈식석곽묘의 관곽 개념과 채용 33
2. 가야 각 정치체의 수혈식석곽묘 출현과 전개 34
가. 금관가야 34
(1) 금관가야 수혈식석곽묘 1단계 35
(2) 금관가야 수혈식석곽묘 2단계 35
(3) 금관가야 수혈식석곽묘 3단계 36
(4) 금관가야 수혈식석곽묘 4단계 37
(5) 금관가야 수혈식석곽묘 5단계 38
나. 아라가야 41
(1)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 1단계 42
(2)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 2단계 43
(3)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 3단계 44
다. 대가야 47
(1) 대가야 수혈식석곽묘 1단계 47
(2) 대가야 수혈식석곽묘 2단계 48
(3) 대가야 수혈식석곽묘 3단계 48
(4) 대가야 수혈식석곽묘 4단계 49
라. 소가야 52
(1) 소가야 수혈식석곽묘 1단계 53
(2) 소가야 수혈식석곽묘 2단계 54
(3) 소가야 수혈식석곽묘 3단계 55

Ⅳ. 가야 각 정치체의 수혈식석곽묘 유형화 분석 59
1. 유형화 분석의 개념과 필요성 59
2. 가야 각 정치체의 수혈식석곽묘 유형화 분석 60
가. 금관가야 60
(1) 금관가야 목곽묘의 유형화 60
(2) 금관가야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 70
(3) 금관가야 수혈식석곽묘 유형의 시기별 변화양상 82
나. 아라가야 84
(1) 아라가야 목곽묘의 유형화 84
(2)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 91
(3)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 유형의 시기별 변화양상 104
다. 대가야 107
(1) 대가야 목곽묘의 유형화 107
(2) 대가야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 109
(3) 대가야 수혈식석곽묘 유형의 시기별 변화양상 122
라. 소가야 124
(1) 소가야 목곽묘의 유형화 125
(2) 소가야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 129
(3) 소가야 수혈식석곽묘 유형의 시기별 변화양상 141

Ⅴ. 가야 각 정치체의 수혈식석곽묘 수용과 변천 144
1. 금관가야 144
2. 아라가야 149
3. 대가야 151
4. 소가야 154

Ⅵ. 가야 각 정치체의 수혈식석곽묘 매장의례와 계층성 159
1. 수혈식석곽묘의 매장의례와 축조과정 복원 159
2. 유형과 매장의례의 상관성 및 계층성 유출 164
가. 금관가야 165
(1) 유형과 매장의례와의 상관성 165
(2) 계층성 유출 170
나. 아라가야 172
(1) 유형과 매장의례와의 상관성 172
(2) 계층성 유출 175
다. 대가야 177
(1) 유형과 매장의례와의 상관성 177
(2) 계층성 유출 183
라. 소가야 186
(1) 유형과 매장의례와의 상관성 186
(2) 계층성 유출 188

Ⅶ. 수혈식석곽묘를 통해 본 가야사회 219
1. 가야 수혈식석곽묘 Ⅲ기의 계층적 특징 219
2. 가야 수혈식석곽묘에 반영된 계층분화 229
3. 시기별 계층간 점유율 234
4. 수혈식석곽묘로 본 가야사회의 발전단계 237

Ⅷ. 결론 242

參考文獻 247

Abstract 256

소장기관

강원대학교 도서관 (242002),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222001),경성대학교 도서관 (221002),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241008),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211017),대구대학교 도서관 (247009),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20),동아대학교 도서관 (221008),부경대학교 도서관 (221031),서원대학교 도서관 (243003),숭실대학교 도서관 (211044),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학술정보원 (242009),한국교육학술정보원 (999999),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64)

키워드
  • 금관가야
  • 아라가야
  • 대가야
  • 소가야
  • 매장의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