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耶馬具의 硏究
(A) study on the horse trappings of Kaya
저자
류창환
발행연도
2007 
학위수여기관
東義大學校 大學院 
학위논문사항
사학과 2007. 2 
형태사항
ⅴ, 78 p. ; 26 cm 
KDC
초록

이 논문은 가야고분에서 출토되는 마구를 통해서 본 가야마구의 성립과 발전에 관한 연구이다. 주지하듯이 질주하는 말을 타고 적진을 돌파하거나 적과 마주쳐 싸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승용 마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기승용 마구는 가야의 경우 4세기 전반대에 처음으로 등장하여 가야의 변동과 궤를 같이 한다. 4세기대에는 낙동강 하류역에 자리잡은 전기가야의 맹주국인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북방의 선비계 마구를 받아들이면서 자체 개량도 꾸준히 시도되었다. 그리하여 4세기 후반대에 들어서는 비와 등자, 안장 등을 기본 조합으로 하는 「전기가야 마구」가 성립되고 여기에 장식용 마구인 심엽형행엽의 재지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가야마구의 초석을 마련하게 된다. 5세기에 들어서는 「전기가야 마구」가 낙동강 하류역을 거슬러 올라가 합천 옥전지역에 이르고, 한편으로는 남강 하류역의 함안지역에까지 이르는 등 가야의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어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마구의 새로운 변화는 A.D 400년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남정으로 야기된 가야의 정세변동을 계기로 전기가야가 해체되고 후기가야가 형성되어 가는 전환기적인 시기에 일어난 것이었다. 이처럼 전기가야에서 후기가야로 전환되는 5세기 전반대에 일어난 가야마구의 변화는 마구의 종류나 형식의 수가 많아지기도 하지만 각 지역에서 마구 제작이 시작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마구의 종류와 형식, 제작방법에 있어서 금관가야 마구를 모태로 하면서도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의 마구가 나타나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점이 바로 5세기 전반대의 가야마구에 나타난 전환기적 특징으로, 이후 대가야와 아라가야가 후기가야의 중심지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배경이 된 것으로 본다. 이처럼 5세기에 전반대에 가야의 3대 중심지인 금관가야와 대가야, 아라가야지역에서 새로이 발전하던 「전기가야 마구」는 표비와 환판비 등에 굽은 타원형 외환의 일조선인수와 유환이 채용되고, 고식등자가 소멸되고 신식등자가 등장하면서 「후기가야 마구」로 전환되게 된다. 이 같은 「후기가야 마구」로의 전환은 「전기가야 마구」와 백제마구의 접촉에 의한 것으로, 그 배경은 433년부터 전개되는 신라와 백제의 우호관계에 편승한 대가야와 백제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이로써 5세기 중엽경에 성립된 후기가야 마구는 지역적으로는 후기가야의 중심국으로 등장한 대가야와 아라가야를 중심으로 발전하게 된다. 특히 대가야권의 양대 중심지인 지산동과 옥전에서는 「대가야형 마구」가 성립되고 이어서 합천 반계제, 함양 백천리, 거창 말흘리, 남원 월산리 등의 주변지역으로 전래된다. 이러한 「대가야형 마구」의 성립과 확산은 대가야의 세력확장 경로와 그에 따른 이른바 대가야연맹제국의 위치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이는 마구를 통한 대가야의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반영한 것으로 추론된다. 한편 이와 또 다른 몇 가지 주목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고분의 위계에 따른 마구유형의 차별화, 최고지배자급 고분에 마구의 복수부장, 신라의 지배층에서 성행하던 편원어미형행엽과 무각소반구형운주로 구성된 「장식마구」의 채용 등이 그것이다. 이 같은 새로운 현상은 가야 지배층의 권위와 지배력 강화라는 목적과 마구의 위세품적인 성격이 맞아떨어진 결과로 추정된다. 6세기 전엽에 들어서는 이전까지 발전하던 「후기가야 마구」가 변질되고 새로운 형식의 백제·신라마구가 채용된다. 특히 검릉형행엽을 표상으로 하는 대가야적인 마장이 점차 소멸해 가고 이를 대신해 새로이 신라계의 인동타원문심엽형행엽과 패제운주로 구성된 마장이 수입된다. 한편으로는 백제계의 마구도 도입되어 다라국 최후의 왕묘로 추정되는 옥전 M11호분에 부장되기에 이른다. 이상과 같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가야마구의 성립과 발전은 대내적으로는 가야제국의 성장과 발전 방향을 보여주는 것이며, 대외적으로는 당시 동아시아 세계에 있어서 가야의 적극적인 대외활동을 반영한 것으로 본다.

초록(영문)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Kaya's horse trappings by studying the horse trappings unearthed in Kaya's tombs. As known, people in Kaya needed to equip their horses with appropriate horse trappings to break through and fight the enemy. The horse's trappings appeared in the early 4th century for the first time and kept track of the changes in Kaya. In the early 4th century, Kumkwan Kaya with other Kayas tried to adopt the horse trappings derived from the Seonbi tribe of the north and localize them for itself. 「The early Kaya's horse trappings」 composed primarily of bits, stirrups, and saddles appeared in the late 4th century. Afterwards, the addition of trappings for decoration(Heart-type harness pendants) to the basic trappings structure led to the foundation of 「The Kaya trappings」. Entering 5th century, 「The early Kaya horse trappings」, starting on the lower of Nakdong river, made their way up to Okjeon in Hapcheon, and another way to the lower of the Nam river, the area of Haman while transforming themselves dramatically. The new and drastic changes in Kaya horse trappings coincided with the political transition of the early Kaya to the late Kaya caused by the great king, Kwangaeto's 'expansion to south' policy. We need to focus on the fact that Kaya horse trappings at the time of political transition were divided into various forms and different areas. Therefore, we can see that a variety of horse trappings appeared in different areas, even though the forms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m derived from KumKwan kaya's horse trappings. Horse trappings in the early 5th century have distinctive feature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transition. Those features can be the ground to explain how Dae Kaya and Ara Kaya, and afterwards, became the leading areas in the late Kaya period. The newly developed horse trappings in the three leading areas(KumKwan Kaya, Dae Kaya, Ara Kaya) of the early 5th century started to adopt Ilchonsuninsu(the oval ring) and the free ring into Pyobi and Hwanpanbi, while the old fashioned stirrups were replaced by new stirrups. In that way, the horse trappings of early Kaya transformed into the new style of the late Kaya. It is thought that this development was strongly affected by Packche horse trappings, considering the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Dae Kaya and Packche, which is in fact caused by the good relationship between Sila and Packche. Dae Kaya and Ara Kaya, the leading countries in the late Kaya period seized the initiative in developing the late Kaya trappings launched in the middle 5th century. 「Dae Kaya-type horse trappings」 were made in Chisandong and Okjeon, the two major areas of Dae Kaya and spread into the surrounding areas(Bangyeje in Hapchon, Backjeonri in Hamyang, Malhuli in Geochang, Wolsanri in Namwon) The routes of initial formation and spreading of Dae Kaya type horse trappings nearly coincide with those of Dae Kaya's political expansion and the following establishment of Dae Kaya allied empire. We can infer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 and local areas from the craftsmanship of the horse trappings. There are other important things we can notice; different types of the horse trappings in accordance with the hierachy of the tombs, extra and various sets of trappings buried in the supreme ruling classes' tombs, 「Decoration horse trappings」adopted from the ruling classes of Silla, which consisted of Pyonwonri-type harness pendants and Mukagsobangu type beads. It is natural that the ruling classes needed the symbolic and prestigeous nature of the horse trappings to reflect their authority and reinforce their ruling power. Entering the early 6th century, the prevailing 「The late Kaya horse trappings」faded and the new fashioned Baekje·Silla horse trappings were adopted. The Dae Kaya type horse trappings featuring Gumnurg-type harness pendants disappeared and were replaced by the Silla type horse trappings consisting of Dongtawon type harness pendants, while Baekje type trappings were also imported to be buried in Okjeon M11 tombs considered the last tomb of the king in Dara kingdom. Kaya horse trappings initial formation and development are considered to keep track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s of the Kaya imperial domestically and represent the Kaya's dynamic overseas activities in East Asia.

목차

요약 = Ⅰ
목차 = Ⅲ
제1장 머리말 = 1
Ⅰ. 연구의 목적과 방법 = 1
Ⅱ. 연구현황과 문제점 = 6
1. 1980년대 이전 = 7
2. 1980년대 이후 = 8
제2장 가야마구의 종류와 명칭 = 20
Ⅰ. 마구의 구분 = 20
Ⅱ. 가야마구의 종류와 명칭 = 21
1. 비 = 24
2. 안장 = 28
3. 등자 = 29
4. 행엽 = 31
5. 운주 = 31
6. 마주 = 32
7. 마갑 = 33
제3장 가야마구의 편년과 계보 = 34
Ⅰ. 목심등자 = 34
1. 속성의 추출과 검토 = 36
2. 속성간의 관계와 형식의 설정 = 47
3. 편년 = 61
4. 계보와 전개 = 70
Ⅱ. 환판비의 편년과 분포 = 80
1. 속성의 추출과 검토 = 81
2. 속성간의 관계와 형식의 설정 = 92
3. 편년 = 103
4. 분포 = 108
Ⅲ. 동아시아의 초기마구 = 112
1. 분류와 연대 = 112
2. 계보와 전개(그림 11, 12 참조) = 124
제4장 가야마구의 지역적 전개 = 132
Ⅰ. 금관가야 = 132
1. 분류와 편년 = 132
2. 계보와 전개 = 139
Ⅱ. 대가야권 = 153
1. 분기와 편년 = 153
2. 계보와 전개 = 154
Ⅲ. 아라가야 = 174
1. 분류와 편년 = 174
2. 계보와 전개 = 185
제5장 가야마구의 변화와 획기 = 194
Ⅰ. 마구의 등장과 전기가야 마구의 성립 = 196
Ⅱ. 전기가야 마구의 확산과 의의 = 200
1. 지역별 양상 = 201
2. 전환기적 특징 = 209
3. 연대문제 = 214
Ⅲ. 후기가야 마구로의 전환과 전개 = 220
1. 후기가야 마구로의 전환양상과 배경 = 220
2. 후기가야 마구의 성립과 발전 = 227
3. 후기가야 마구의 변질과 백제·신라마구의 수용 = 230
제6장 가야마구의 성격과 사회변화 = 234
Ⅰ. 가야마구의 유형과 분포 = 234
1. 유형과 성격 = 234
2. 분포 = 238
Ⅱ. 가야의 기마·기병 = 249
1. 고구려의 기마·기병 = 249
2. 가야의 기마·기병 = 261
Ⅲ. 장식마구의 성격과 지역성 = 285
1. 장식마구의 출토예 = 286
2. 장식마구의 성격 = 294
3. 장식마구의 분포와 지역성(표 33 참조) = 298
Ⅳ. 마구를 통해 본 사회변화 = 307
1. 대가야권의 성장과 발전 = 307
2. 아라가야의 성장과 발전 = 313
3. 대외관계 = 318
제7장 맺음말 = 321
참고문헌 = 343
Abstract = 357

소장기관

동아대학교 도서관 (221008)

키워드
  • 가야마구
  • 기승용 마구
  • 장식용 마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