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자료를 통해 본 아라가야의 대외관계
저자
하승철
발행연도
2018 
발행처
부경역사연구소 
언어
Korean 
학술지명
지역과 역사 
권호사항
Vol.-No.42[2018]  
수록면
91~125 
KDC
초록

아라가야의 고분문화는 묘제와 부장 유물의 변화를 기준으로 4단계로 설정하였다. 1단계는 중ㆍ소형 목곽묘가 축조되고 고식도질토기가 유행하는 시기로 4세기 전엽부터 4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2단계는 새로운 형식의 도질토기가 제작되고 대형 목곽묘가 축조되는 시기로 4세기 후엽부터 5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3단계는 수혈식석곽묘가 수장층의 묘제로 채택되는 시기로 5세기 후엽부터 6세기 전엽에 해당한다. 4단계는 횡혈식석실분이 도입되고 외래계 토기가 확산하는 시기로 6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아라가야와 왜는 4세기부터 5세기 전반의 시기에 가장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당초 규슈지역 수장층과 교류하였으나 4세기 후반부터 긴키지역 왜 왕권으로 교섭대상이 바뀐다. 아라가야와 마한의 교류는 3세기 후반부터 전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라가야와 백제의 교섭은 3단계부터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나 6세기 중엽에 확대된다. 횡혈식석실분의 도입과 함께 백제계 금속기ㆍ토기 등이 아라가야로 유입된다. 아라가야와 신라의 교류는 1단계에 활성화되지만 이후로는 크게 진전되지 못한다. 3, 4단계에는 아라가야 수장층을 중심으로 신라계 의장용마구가 반입된다. 아라가야와 소가야는 1, 2단계에 긴밀한 관계를 형성한다. 아라가야 토기문화는 소가야 토기의 성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아라가야와 대가야는 3단계부터 교류가 시작된다. 아라가야 수장층에 대가야형 마구와 장식대도 등이 반입된다. 6세기 중엽에는 횡혈식석실분에 다량의 대가야 유물이 부장된다. 아라가야가 급격히 위축되는 가운데 백제, 대가야 세력이 영향력을 확대한다. 아라가야는 대외관계로 보아 4세기부터 급성장하였으며 5세기에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6세기 중엽에는 백제의 동진과 신라의 영토확장 정책에 맞물려 급격히 쇠퇴한다.

초록(영문)

Aragaya developed while forming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s with each of its neighboring countries. Foreign relations are not identical from beginning to end, and its objectives and targets change based on fluctuations in circumstance. Aragaya’s foreign relationships continued from the 4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ragaya and Wa formed the closest relationship from the 4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Initially, Ara Gaya engaged in exchanges with the head class of Wa’s Kyushyu region, but from the latter half of the 4th century changed to a target of negotiations as Japan’s royal authority. Exchange between Aragaya and Mahan began from the 4th century. Negotiations between Aragaya and Baekje were carried out from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but expanded during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oenghyeol stone chamber tomb, metal and earthenware from Baekje were brought into Aragaya. Exchanges between Aragaya and Silla were active for the entirety of the 4th century, but didn’t significantly progress after that. From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antiquities from Silla entered into Aragaya centered around the head class. Aragaya and Sogaya formed a close relationship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From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Aragaya and Daegaya had active exchanges with one another. Saddlery and decorative swords from Daegaya entered Aragaya’s head class.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Many of Daegaya’s antiquities were buried together in the stone chamber tomb. Aragaya, based on its foreign relationships, rapidly developed from the 4th century, and enjoyed its heydays in the 5th century. During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ragaya sharply declined in connection to the territorial expansion policies of Baekje and Silla.

목차

국문초록
머리말
Ⅰ. 아라가야 고분문화의 변천
1. 단계의 구분
2. 묘제
3. 유물
Ⅱ. 아라가야 대외관계의 변동
1. 1단계(4세기 전엽∼중엽)
2. 2단계(4세기 후엽∼5세기 중엽)
3. 3단계(5세기 후엽∼6세기 전엽)
4. 4단계(6세기 중엽)
Ⅲ. 아라가야의 성장과 대외관계
1. 성장기
2. 발전기
3. 쇠퇴기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 아라가야
  • 대외관계
  • 마한ㆍ백제
  • 신라
  • Aragaya
  • Foreign Relations
  • Mahan·Baekje
  • Wa
  • Silla